주체할 수 없는 `먹방 콘텐츠 시청` 막는 기술 나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소셜미디어 등에서 먹방 등 각종 음식 관련 콘텐츠가 인기인 가운데, 유해한 디지털 음식 콘텐츠나 먹방 자율감각 쾌감반응(ASMR) 등을 차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이성주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 주최 '컴퓨터 인간 상호작용 학술대회(CHI)'에서 식이장애 환자들의 무분별한 디지털 음식 콘텐츠 소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관련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이장애 환자 건강한 삶 지원..심리학 이론 적용
최근 소셜미디어 등에서 먹방 등 각종 음식 관련 콘텐츠가 인기인 가운데, 유해한 디지털 음식 콘텐츠나 먹방 자율감각 쾌감반응(ASMR) 등을 차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이성주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 주최 '컴퓨터 인간 상호작용 학술대회(CHI)'에서 식이장애 환자들의 무분별한 디지털 음식 콘텐츠 소비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관련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인간 심리학의 두 체계 이론에 근거해 소셜미디어 소비자가 디지털 음식 콘텐츠를 소비할 때 의식적으로 평가한 뒤 시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음식 콘텐츠의 시각적·청각적 자극은 '체계 1'(빠르고 즉각적으로 작용하는 체계)을 자극해 소비자의 자동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시간으로 음식 콘텐츠를 가리고 음소거해 자동 반응을 차단하는 한편, 대신 소비자에게 의식적인 콘텐츠 선택 및 소비를 위한 질문을 던져 '체계2'(천천히 심사숙고한 후 판단하는 체계)를 활성화함으로써, 소비자가 더 의식적이고 건강한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22명의 식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3주 동안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한 결과, 실험 집단에서 유튜브에서 음식 콘텐츠에 대한 노출과 소비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유튜브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도 영향을 미쳤다. 참가자들은 이 시스템이 음식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자동 반응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두 체계 이론의 체계1을 억제하고, 체계 2를 촉진했음을 보여준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성주 KAIST 교수는 "이 시스템은 일상생활에서 식이장애 환자들의 음식에 대한 강박을 완화하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디지털 음식 콘텐츠뿐 아니라 폭력물이나 선정적 콘텐츠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故 구하라가 실마리 풀었다…승리·정준영·최종훈 `경찰 유착` 밝혀
- "돈 때문에 사람 죽일 그렇게 악한 여자 아냐"…`계곡 살인` 이은해, 옥중 억울함 호소
- 김호중 "큰 상처 드려 죄송" 팬카페에 심경글…경찰, 출금 신청
- "여성 환자 코 두피, 이마까지 올리고 사진 찍어"…불법수술 의혹 간호조무사
- 개그맨 김영민 “김정숙 알면 김건희 욕 못함”…문다혜씨 ‘수상한 돈 거래’ 직격
- KDI "중장기 민간소비 증가율 1%대 중반"
- 현대차그룹, 폭스바겐 누르고 수익성 톱2 등극
- 믿을 건 밸류업뿐인데…세제 인센티브, 국회 통과 `하세월`
- 코스피 하락 베팅 `곱버스` 거래량↑…"트럼프 리스크 주의해야"
- 성수·영등포 확 바뀌나… 서울 준공업지역 규제 확 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