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이 깜깜해요"…좁아진 美 대졸 취업 시장

방성훈 2024. 5. 20. 14: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올해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예년보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미 대학고용자연합(NACE)에 따르면 미국 고용주들은 올해 대졸자 채용을 작년보다 5.8% 줄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경제 성장세 지속에도 대졸 취업 시장은 '빡빡'
고용주들 "대졸 채용 5.8% 줄일 계획"…2015년後 최대
팬데믹 '구인난 특수' 끝나…실업률 1년전 4.2%→5%
"금융·SW 등 대졸자 선호 사무직 채용공고 매우 적어"
빅테크 등 기술업계는 대규모 정리해고까지 진행...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올해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예년보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반대 시위로 약 100명의 학생들이 체포된 미국 뉴욕시 컬럼비아대학교에서 15일(현지시간) 졸업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AFP)

전미 대학고용자연합(NACE)에 따르면 미국 고용주들은 올해 대졸자 채용을 작년보다 5.8% 줄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조사가 개시된 2015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또한 고용주들이 대졸자 채용을 전년보다 줄인 것은 두 번째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많은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렸던 것과 대비되는 모습으로, 그만큼 올해 채용시장이 매우 빡빡해졌다는 얘기다.

산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제약회사, 전자제품 제조업체, 금융 및 보험 분야의 고용주들이 채용 삭감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사이트 인디드의 닉 벙커는 “금융, 소프트웨어 개발, 마케팅 분야를 포함해 대졸자들이 선호하는 화이트칼라 직종의 채용 공고 수는 매우 적은 편”이라며 “팬데믹 이후 2022년 호황을 보인 뒤 다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러한 채용 둔화 추세는 최근 몇 달 간의 고용지표에서도 확인된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미국의 4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17만 5000건 증가했는데,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4만명)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미 노동부는 “지난 2년 동안 채용이 30% 감소했다. 특히 금융 및 보험 분야의 채용 공고는 지난 3월 15만 8000개가 줄어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고 전했다.

기술 업계에선 대규모 정리해고까지 진행되고 있다. 미 고용정보 사이트 레이오프에 따르면 빅테크를 포함한 기술 기업들은 지난해 총 26만 3180명을 해고했다. 이는 전년보다 59% 급증한 규모다.

이에 따라 실업자도 늘었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20~24세 학사학위 소지자의 실업률은 지난달 5%를 기록해 1년 전(4.2%)보다 상승했다. 또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이전만큼 만족스러운 초봉은 받지 못하고 있다. 취업사이트 핸드셰이크의 크리스틴 크루츠페어가라는 “올해 대졸자들은 이전 졸업생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다양한 역할에 더 많은 지원서를 제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학생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주 뉴욕주립대학교를 졸업하고 금융회사 일자리를 찾고 있는 모하메드는 “한쪽에선 미 경제가 좋아 일자리가 넘친다고 하고, 다른 한쪽에선 일자리가 많지 않다고 한다. 뭘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 (취업을 하지 못할까봐) 조금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FT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많은 학생들이 진학 및 졸업을 미뤘고, 최근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반대 시위로 졸업식이 잇따라 중단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불확실한 노동 시장으로 나아가야 하는 대졸자들은 첫 취업에 대한 희망이 무너질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평했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