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99% "증원 전면백지화 후 원점재논의해야" 자체설문 발표

김윤정 2024. 5. 20. 14: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의 99%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전면 백지화하고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98.81%는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에 대한 본인의 입장을 선택해달라'는 질문에 '전면백지화 이후 원점 재논의'를 꼽았다.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도입과 의대 증원 정책이 의대생들의 미래 진로 관련 인식 변화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대생 대표자 모인 '의대협', 5월13~17일 설문결과
99% "필수의료패키지 도입 부정적"…잘못된 원인진단
"한국서 임상할 것" 증원·패키지도입 시 '94%→26%' ↓
"집단행동 동참 의대생, 전체 97%…정부 집계와 달라"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의 99%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전면 백지화하고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심장학 이론서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 의과대학 학생 대표들이 모인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의과대학생·의학전문대학원생 대상 정기 설문조사’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 13~17일 진행됐다. 전국 의대생 1만8348명 가운데 80%인 1만4676명이 참여했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98.81%는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에 대한 본인의 입장을 선택해달라’는 질문에 ‘전면백지화 이후 원점 재논의’를 꼽았다. 1500명대로 일부 감축된 ‘자율정원 증원 수용’은 1.16%로, ‘2000명 증원 수용’은 0.03%를 기록했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한 인식도 99.59%(매우 반대한다 80.39%, 반대한다 19.2%)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의료시스템의 복잡성·유기성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원인 진단’이 1위(1만2217명)로 꼽혔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방향을 빗나갔거나 기대 효과를 과장했다’(1만1179명)는 답변도 있었다. 긍정적인 응답은 0.41%(매우 찬성한다 0.04%, 찬성한다 0.37%)에 불과했다.

의대생 대다수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시행될 경우 결과적으로 국민건강에 악영향이 커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시행될 경우 의료시스템의 질 저하와 왜곡이 심화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명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76.03%가 ‘매우 그렇다’에, 21.22%가 ‘그렇다’에 응답했다.

(자료 제공=의대협)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도입과 의대 증원 정책이 의대생들의 미래 진로 관련 인식 변화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임상 활동을 할 것’이라는 응답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의대 증원 정책 발표 전에는 93.77%를 기록했지만 발표 후에는 26.28%로 떨어졌다. ‘해외에서 임상활동을 할 것’이라는 답변은 종전 0.53%에서 24.25%로 뛰어올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38.41%에 달했다.

‘필수 의료’로 분류되는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 지원 의사가 있다는 학생도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발표 전 80~89%에서 정책 발표 후 8~27%로 급감했다. 세부적으로 ‘중증 의료 전공을 매우 희망한다’는 응답은 발표 전 33.15%에서 발표 후 2.12%로 하락했다.

한편 의대협은 휴학계 제출·수업거부 등 집단행동에 동참한 의대생이 전체 97.26%(1만8837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학칙상 휴학이 불가능한 1학년1학기의 경우에는 수업을 거부해 휴학에 준하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교육당국은 전국 의대생 중 55.6%만 ‘유효 휴학계’를 냈다고 보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달 20일까지 의대생 1만626명이 ‘형식적 요건’을 휴학계를 제출했다고 보고, 이는 1만8793명 중 55.6%에 달한다고 최종 집계했다.

의대협은 “국가의 일방적인 의료 정책 진행에 따른 의료시스템의 위기 심화를 우려하고 있다”며 “의료 현장 의견이 반영된 진정성 있고 심도 깊은 논의가 원점에서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지난 3월24일 발표한 ‘8대 대정부 요구안’을 정부가 수용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자료 제공=의대협)

김윤정 (yoon95@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