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식이장애 환자 건강한 다이어트 유도한다…음식 콘텐츠 '차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식이장애를 앓는 사람들을 위해 모바일·컴퓨터 상 유해 디지털 음식·먹방 콘텐츠를 차단하는 시스템(푸드 센서)을 개발해 국제행사 수상 성적을 거뒀다.
KAIST는 이성주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지난 11~16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 주최 컴퓨터 인간 상호작용 학술대회(CHI)에서 디지털 음식 콘텐츠 소비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실시간 개입 시스템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식이장애를 앓는 사람들을 위해 모바일·컴퓨터 상 유해 디지털 음식·먹방 콘텐츠를 차단하는 시스템(푸드 센서)을 개발해 국제행사 수상 성적을 거뒀다.
KAIST는 이성주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지난 11~16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세계컴퓨터연합회(ACM) 주최 컴퓨터 인간 상호작용 학술대회(CHI)에서 디지털 음식 콘텐츠 소비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실시간 개입 시스템 논문으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인간 심리학의 '두 체계 이론'에서 영감을 받아,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디지털 음식 콘텐츠를 소비할 때 더 의식적으로 평가한 후 시청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음식 콘텐츠 시각·청각적 자극은 '체계 1(자동 작용하는 빠른 체계)'을 자극해 자동적인 사용자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개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음식 콘텐츠를 가리고 음소거해 이런 자동 반응을 차단하고, 대신 사용자에게 콘텐츠 선택·소비를 위한 질문을 제공해 '체계 2(판단에 따른 느린 체계)를 활성화해 사용자가 건강한 콘텐츠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22명 식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3주간 사용자 스터디를 진행해 시스템 평가를 진행했다.
실험 집단에서 유튜브 음식 콘텐츠 노출 및 소비의 유의미한 감소를 관찰했다. 또 이런 감소가 유튜브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다.
실험 집단 참가자들은 이 시스템이 음식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자동 반응 억제에 중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으며, 이는 개발 시스템이 두 체계 이론의 체계 1을 억제하고 체계 2를 촉진함을 입증한다.
시스템이 일상생활에서 식이장애 환자들의 음식에 대한 강박을 완화하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성주 교수는 “개발 기술은 음식 콘텐츠뿐 아니라, 폭력물이나 선정적인 콘텐츠, 또는 다양한 주제별로 적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KAIST 전기 및전 자공학부의 최류해랑 박사과정이 제1 저자, 박수빈 석사과정이 제2 저자, 한수진 석박통합과정이 제3 저자, 그리고 이성주 교수가 교신 저자로 참여했다.
한편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디스플레이, 슬라이더블 시대 연다
- 더존비즈온, AWS와 긴밀 협력 지속
- 한강에 세계 최초 '교량 호텔' 탄생…서울시, 1호 숙박체험자 뽑는다
- 한국에너지중소혁신기업협회 “K-기후테크, 세계로 나아간다”
- [르포]“제주 바다를 한눈에”…호텔신라 첫 레저형 호텔 '신라스테이 플러스 이호테우' 가보니
- 네패스, AI 반도체 패키징 'PoP' 상용화 추진
- 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으로 실종… “생사 확인 안 돼”
- 엔코아, '청년 AI인재 키운다'…'SK네트웍스 Family AI캠프' 교육생 모집
- [미리보는 배터리데이]〈5〉배터리 파운드리·희토류 공급망…주목할 신기술은
- 더존비즈온, 'AWS 서밋 서울' 참가…AX 방향성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