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조해진 "정치인 홍준표, 쓰임새 고갈…바닥 드러나는 것 아닌가"

한정수 기자 2024. 5. 20. 10: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4·10 총선 패배의 책임이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있다며 그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는 홍준표 대구시장에 대해 "정치인 홍준표의 효용이나 쓰임새가 이제 고갈돼 가고 있는 것 같다. 바닥이 드러나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조 의원은 20일 오전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최근에 들어 (홍 시장의) 행보를 보면 우리 당이나 나라에 이익보다는 손해를 더 많이 끼치는 것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조해진 국민의힘 (밀양·의령·함안·창녕) 의원 /사진=뉴스1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4·10 총선 패배의 책임이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있다며 그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는 홍준표 대구시장에 대해 "정치인 홍준표의 효용이나 쓰임새가 이제 고갈돼 가고 있는 것 같다. 바닥이 드러나고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조 의원은 20일 오전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최근에 들어 (홍 시장의) 행보를 보면 우리 당이나 나라에 이익보다는 손해를 더 많이 끼치는 것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든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의원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을 비판하는 이유로 '홍 시장이 한 전 위원장을 보수를 무너뜨리려 했던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는 진행자 질문에 "한 전 위원장이 검사 시절에 보수 정권에 대한 수사에 참여했다는 것을 가지고 하는 이야기 같은데 그게 보수 정권을 무너뜨린 것이라면 그 수사를 진두지휘한 총사령관인 윤석열 대통령에게는 왜 그 책임을 안 묻냐"고 답했다.

이어 "왜 홍 시장이 오히려 윤 대통령의 대변인처럼 하느냐. 그런 점에서 홍 시장의 행보는 앞으로 있을 대선 경쟁에서 유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는 한 전 위원장을 조기에 꺾으려고 하는 것 아닌가, 대통령과 코드를 맞춰 뭔가를 대통령으로부터 기대하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을 갖게 만든다"고 했다.

조 의원은 총선백서 작업 진행 중 한 전 위원장 책임론이 계속 거론되는 데 대해서는 "이번에 참패를 당한 원인이 정권 심판론에 있다는 것은 대통령도 인정했다. 한 전 위원장이 입당하면서 잘 나가던 선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 대통령실 이었고 그것을 뒤집어보려 악전고투했던 것이 한 전 위원장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심을 받아들여 정권 심판론을 완화하자, 다른 이슈로 선거를 치르게 하자고 애를 썼는데 안 받아들여지고 거꾸로 그 때문에 대통령실 노여움을 사서 비대위원장직까지 쫓겨날 뻔했다. 그런 상황에서 한 전 위원장에게 총선 패배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대구시장 /사진=뉴시스

조 의원은 또 총선백서에 한 전 위원장 책임론이 포함되는 것은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백서라는 것은 총선 참패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해서 그걸 제대로 반성하고 대안을 세워서 이기는 선거로 나아가자는 것인데 진단부터가 정치적으로 오염되면 그건 백서가 아니고 탁서"라고 지적했다.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 선거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정황상 당을 위해서나 본인을 위해서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의 흐름이 아닌가 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이 당의 명운이 걸린 전당대회가 제대로 된 쇄신의 전당대회가 되고 국민들이, 당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게 만들려면 한 전 위원장 같은 분이 반드시 나와야 한다"며 "이번에 만약 한 전 위원장이 안 나가게 되면 전당대회는 또 그저 그런 전당대회가 되고 당은 더 어려워지고 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비대위를 구성할 가능성이 많다"고 밝혔다.

한정수 기자 jeongsuha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