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경의 인사이트] 원자재 랠리 속 '금테크' 각광…지금 들어가도 될까

윤진섭 기자 2024. 5. 20. 09:2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20일 (월)
[한국]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 미래에셋비전스팩4호 공모청약
[산업] 델테크놀로지스월드(DTW) 개최(라스베이거스 ~23일 / 황성우 삼성SDS 대표 기조연설), MS 자체 개발 AI칩 '코발트100' 출시, 사우디 왕세자 日 공식 방문, JYP 신인 넥스지 정식 데뷔, 
- 중국 인민은행(PBoC) 5월 대출우대금리(LPR) (한국시간 오전 10시 15분)
- 파월 의장 연설 (한국시간 새벽 4시 30분)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크리스토퍼 윌러 연준 이사 (한국시간 밤 10시~11시)

▲21일 (화)
[한국] 5월 소비자신뢰지수 (한국시간 오전 6시)
[산업] AI 서울 정상회의 개최,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회의, 용인 반도체 산단 합동공청회,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중국 출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2차 회의, 최저임금위원회 심의 개최
- 유로존 3월 경상수지/무역수지
- 미국 실적 : 리오토, 팔로알토네트워크, 줌비디오, 트립닷컴
- 재닛 옐런 재무장관 연설 (한국시간 오후 5시)
-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한국시간 밤 10시~)

▲22일 (수)
[한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시간 오전 6시)
[산업]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 국토부 1기 신도시 통합재건축 선도지구 발표
- 일본 4월 무역수지
- 유럽중앙은행(ECB) 비통화정책회의
- 미국 4월 기존주택판매건수 (한국시간 밤 11시)
-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 (한국시간 새벽 12시 45분)
- 미국 실적 : 메이시스

▲23일 (목)
[한국] 한은 금통위(현 3.5%) (한국시간 오전 10시), 노브랜드 신규 상장
[산업]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초록 공개,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공개, 기아 '더 기아 EV3' 정보 공개
- 미국 FOMC 회의록 공개 (한국시간 새벽 3시)
- 미국 신규건축허가/주택착공건수 (한국시간 밤 9시 30분)
- 미국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한국시간 밤 9시 30분) 
- 미국 S&P글로벌 5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예비치 (한국시간 밤 10시 45분) 
- 5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PMI
- 미국 실적 : 타깃, 엔비디아(한국시간 새벽 5시 이후)

▲24일 (금)
[한국]
[산업] 뉴진스 컴백 
- 일본 4월 소비자물가지수
- 미국 4월 내구재 수주 (한국시간 밤 9시 30분)
- 미국 미시간대 5월 소비자심리지수/인플레 예상 확정치 (한국시간 밤 11시)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 (한국시간 새벽 4시)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한국시간 밤 10시 35분)

[글로벌 증시 리뷰와 분석]

◇ 중앙은행들의 피벗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권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죠. 지난주에는 세계 주요 국가들의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찍기도 했는데요. 1위는 어느 국가였습니까?

- “한국 빼고 다 신고가”...글로벌 증시 성적표는?
- 주요 20개국 증시 중 14개 사상 최고가 돌파 
- 실적 시즌 끝자락…한 달간 홍콩 압도적 1위
- 아시아 기술주 주도하는 대만 2위
- 줄줄이 신고가…미국·유럽·일본 증시 강세장 활활
- 저평가 매력·LME 지수 급등…영국 증시 상위권 안착
- 국내 증시, 상승 탄력 약화…한국 중위권 기록
- 거시경제 견조·기업 호실적...유럽·캐나다·대만 증시도 쑥
- 전문가들 "경제 적신호 없어 상당 기간 강세장 이어질 것"

◇ 미국 증시 분위기도 굉장히 좋았습니다. 지난주 다우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장중 4만 선을 돌파했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는데, 섹터별 흐름은 어땠나요?

- 지난주 뉴욕증시 일제히 최고치 경신…가장 강했던 업종은?
- 뉴욕증시 '역대 최고' 다우의 날…다우 첫 4만 선 돌파
- 다우 종가 기준으로도 4만 돌파, 128년 역사상 새 이정표
- 미국 다우지수 장중 4만 선 첫 돌파…2만→4만 선 불과 7년
- 금리인하 기대감에 미 3대 지수 역대 최고 기록
- 미국 유틸리티 업종 한 달 내내 1위
- 유틸리티 업종 연초 이후로도 1위
- 최근 금리 하락으로 기술주 및 부동산 상위권 기록

◇ 글로벌 증시가 축제를 벌이고 있는데, 국내 증시는 박스권에 갇히면서 상대적으로 지지부진했는데요. 그나마 호실적을 낸 기업들 위주로 업종 전체가 들썩이는 모습이었는데, 어떤 업종이 상승세가 가장 높았나요?

- “다 가는데 못 가는 한국”…업종별 흐름은?
- 미 증시는 축포 터뜨리는데…박스권에 갇힌 코스피
- 한국, 한 달간 ‘금융’ 업종 1위
- 기계·운송·조선 업종 강세…산업재 2위 
- 조선 3사 상승 랠리…HD한국조선해양 52주 신고가
- 전 세계 선박 수주잔고, 12년 만에 최고치
- 업황 개선·미중 무역분쟁·고환율 기조…‘조선업’ 강세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 4주 연속 상승…1940p 넘어서
- 주간 1위였던 ‘필수소비재’ 3위로 대체
- 기관과 외인 동시 매수한 종목·업종의 수익률 좋아

◇ 지난주 대형 기술주들의 강세가 나스닥 지수 상승을 이끌었죠. 특히 주도주에서 멀어져가던 애플이 AI 아이폰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리면서 반전을 꾀하는 모습이었는데요. 종목별 주가 상황은 어땠나요?

- M7 종목별로 온도차…주가 압도적 기업은?
- 엔비디아의 시간…22일을 기다리는 개미들
- 실적 발표 앞둔 엔비디아, 주가 더 오를까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주가 시동…사상 최고가 근접
- 저조했던 알파벳·애플·테슬라 성과 개선
- 메타·아마존·MS 부진…3인방 대표적 AI 고객사들
- 애플, 새 iOS에 챗GPT 탑재…'시리'와 대화 가능
- 두께 줄고 가격 오른다…'아이폰 17' 내년 9월 출시 전망
- "테슬라, 중국에 데이터센터 구축 추진…자율주행 학습용"

◇ 우려했던 인플레이션 둔화에 강세장 기대감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월가에서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강세장이 수개월 동안 이어질 거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 하반기 증시 흐름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 다우 사상 첫 4만 돌파 마감…강세장 지속될까
- 4월 CPI 둔화,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커지자 랠리
- CFRA "S&P500 올해 5400 돌파 가능"
- 실적 기대감·인플레 둔화…"연말까지 랠리 지속"
- S&P500, 빅테크 랠리 덕에 연초 대비 11% 이상 올라
- 월가 "증시 강세장 향후 12개월 동안 지속될 것“
- “M7에 의지하던 이익 성장 2분기부터 분산 전망” 
- "S&P500 올해 5,400 돌파 가능"…강세장 기대감 '솔솔'

◇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의 대미를 장식할 빅이벤트죠.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이번 주 목요일(한국시간)에 예정되어 있는데요. 이번 실적이 증시 전체의 방향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 예상된다고요?

- 엔비디아, 1분기 실적 발표...미 증시 방향성 제시할까
- 엔비디아 실적 발표, 높아진 눈높이 충족할까
- 이번 주 증시 23일 엔비디아 실적 주목
- S&P500 상승률의 1/4 엔비디아 혼자 담당
- 1분기 매출 전년비 3.4배·조정 EPS 5.1배 예상
- “전분기比 주당순이익·매출 약 20% 증가가 컨센서스”
- "AI 개발 필수 GPU 사실상 독점, 수요 식지 않아"
- 향후 미 증시 향방에도 영향…블랙웰 정보공개 '주목’
- “엔비디아 실적, 이번에 얼마나 더 좋아졌을지가 관건“

◇ 최근 유틸리티, 소비재, 금융 등의 업종들이 주도 업종으로 자리 잡는 상황인데, 이게 경기 사이클의 변화를 의미하는 걸 수도 있다고요?

- 주도 업종 변화…경기 정점기나 수축기 신호?
- 최근 주도 업종…유틸리티·필수소비재·소재·금융 등
- 쏠쏠한 배당에 'AI 훈풍'까지…활력 되찾는 유틸리티 업종
- 유틸리티 업종 중 ‘천연가스 발전’ 사업 기업 주목 

◇ 글로벌 증시와 함께 원자재 가격도 크게 뛰었습니다. 특히 금 선물 가격이 다시 온스당 2400달러 선 위로 올라서면서 지난달 기록한 역대 최고가에 바짝 다가섰는데요. 앞으로도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 거라고 보시나요?

- "금·은 귀금속 뜨거운 랠리"…가격 더 오를까?
- "지금 들어가도 될까요"…'금 투자' 여전히 매력적일까
- 다우지수 사상 첫 4만 돌파에 원자재 가격도 동반 랠리
- 금 가격, 3주 만의 최고 수준
- 미중 갈등·중동전쟁 리스크로 안전자산 선호 부각
- 경기 순환 말기에 해당하는 원자재 ‘금’이 각광
- ”중앙은행들의 정책관리에 따라 연착륙·경착륙 여부 결정”
- “최근 금 가격 랠리 경기 호황 끝자락 신호 일수도“

◇ 미국의 4월 물가 지표 발표 이후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상당히 높아진 상황입니다. 그런데 아직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요?

- 미 물가 둔화에 환호한 시장…안심하긴 이르다?
- ”시장 환호 했으나 아직 안심하기 일러”
- ‘슈퍼 코어’ 인플레이션 상승세 지속…4.9% 기록 
- 인플레와의 전쟁 끝나지 않았다…'슈퍼 코어'가 문제
- 주거비 관련 물가 내려오는 속도 더딘 상황 
- “시장 연내 2번 금리인하 기대…또 실망할 수도”

◇ 4월 소매 판매 역시 전달과 같은 수준에 그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을 실어주고 있죠. 다만 미국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온 한 축이 침체로 돌아선 건 아닌지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 美 4월 소매판매 ‘보합’…안정일까? 침체일까?
- 미 4월 소매판매 전달과 같은 수준…시장 전망치 하회
- 소비자물가 완화에 소매판매 정체…미 금리인하 기대감↑
- “미 실질 소매판매 둔화…낙관하긴 일러“
- 미 4월 소매판매, 예상 뒤집고 3월과 동일…연간 3% 증가 그쳐
- 유가 올라 다른 지출 줄이며 실질 소매판매 0.3% 감소
- 소비심리 침체론과 아직 양호하다는 의견 대립

◇ 닥터코퍼 구리 가격의 흐름도 심상치 않습니다, 최근 미국 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구리 가격이 1만 1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영국 구리 가격과의 격차가 이례적으로 벌어지면서 변동성이 커지는 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데, 경계해야 할 상황으로 보시나요?

- 미국 구릿값 사상 최고치…상품시장 변동성 커질까
- 미 구리 가격 사상 최고치…“투기 자금 밀려들어”
- “시장의 폭주”…미국 선물시장 구리 가격 사상 최고
- 구리 가격, 시장별로 가격차 존재…단기 변동성 커져 
- 중국의 구리 재고 축적도 구리 가격 상승 원인
- 구리 가격 상승, 하반기 물가 상승 압력 요인

◇ 이제 5월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할 좋은 시기이기도 한데요. 대응 전략까지 세워주신다면요?

- 증시 기대감 최고조…투자자 대응 전략은?
- 투자심리 개선…레브코비치 지수 다시 행복 영역에 도달
- “기대 수준 낮추고 ‘업종·자산군 순환매’ 대응해야”
- “포트폴리오 재정비할 필요성 있어”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