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스틸러' 김재환·키스 오브 라이프, 연달아 송 스틸 성공!

유정민 2024. 5. 20. 09: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재환과 키스 오브 라이프가 '베스트 송 스틸러' 후보에 올랐다.

어제(19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송스틸러'에서는 키스 오브 라이프와 김재환이 각각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와 러블리즈 케이를 꺾고 송 스틸에 성공했다.

이날 '송스틸러'에는 김재환, 키스 오브 라이프, 러블리즈 케이, 권진아,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 고유진이 스틸러이자 원곡자로 참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재환과 키스 오브 라이프가 '베스트 송 스틸러' 후보에 올랐다.

iMBC 연예뉴스 사진

어제(19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송스틸러'에서는 키스 오브 라이프와 김재환이 각각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와 러블리즈 케이를 꺾고 송 스틸에 성공했다. 두 스틸러의 무대 모두 원곡자들의 격한 만족을 이끌어내면서 신선한 해석의 레전드 무대가 연달아 탄생해 흥미를 돋웠다.

이날 '송스틸러'에는 김재환, 키스 오브 라이프, 러블리즈 케이, 권진아,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 고유진이 스틸러이자 원곡자로 참석했다. 빌보드 차트에 진입한 괴물 신인부터 커버 곡만 100곡 이상이라는 '니곡내곡'(남의 노래를 제 노래처럼 부른다는 뜻) 스킬 보유자까지 각양각색 스펙트럼의 아티스트들이 모인 만큼 송 스틸 무대를 향한 기대감도 커졌다.

특히 이번 '송스틸러'에서는 무려 두 곡의 주인이 바뀌어 눈길을 끌었다. 먼저 키스 오브 라이프는 돌고래 고음과 강렬한 카리스마가 돋보이는 브라운아이드걸스의 'Sixth Sense' 스틸에 도전했다. 무대를 빼곡하게 채운 댄서들과 파워풀한 퍼포먼스는 리스너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그중에서도 벨의 돌고래 고음은 브라운아이드걸스 제아마저 엄지를 추켜올리게 만들었다. 괴물 신인이라는 말답게 짜릿한 무대를 선보인 키스 오브 라이프는 'Sixth Sense'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무대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은 벨은 감격에 젖은 채 눈물을 글썽여 보는 이들을 뭉클하게 했다.

또한 김재환은 러블리즈의 'Destiny'를 청량한 록 보컬로 재해석하며 시선을 모았다. 원곡의 감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김재환만의 시원한 고음을 더해 곡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이에 맞서는 원곡자 케이도 그룹이 아닌 솔로곡으로 무대를 구성해 보는 재미를 더했다.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명 무대 끝에 김재환이 리스너들의 선택을 받아 베스트 송 스틸러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그런가 하면 스틸러에 맞서는 원곡자들의 약진도 단연 두드러졌다. 러블리즈의 'Destiny'를 빼앗은 김재환은 대선배인 플라워 고유진을 상대로 워너원의 'Energetic'을 사수했다. 천장을 날려버릴 듯한 엄청난 고음 대결 속에서 당당히 워너원 멤버의 자존심을 세운 것.

고유진 역시 '니곡내곡' 스킬 보유자 권진아의 스틸 시도를 방어해 내며 대표곡 '걸음이 느린 아이'를 지켜낼 수 있었다. 권진아는 특유의 호흡과 음색으로 관객들의 마음을 울리는 무대를 완성한 반면 고유진은 섬세한 강약 조절로 과거의 향수를 소환해 냈다.

이렇듯 '송스틸러'는 원곡자들까지 만족하게 하는 스틸러들의 색다른 편곡으로 매회 상상을 초월하는 무대를 선물하고 있다. 무엇보다 '베스트 송 스틸러'로 선정된 아티스트의 곡은 음원으로 재발매되기에 과연 2대 '베스트 송 스틸러'는 누가 될지 궁금해진다.

제2대 '베스트 송스틸러'가 공개될 MBC 예능 프로그램 '송스틸러'는 오는 26일(일) 밤 9시 10분에 방송된다.

iMBC 유정민 | 사진제공 MBC

Copyright © MBC연예.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