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엔비디아 성적표·"네버" 바이든·라이칭더 총통·직구 헛발질·전셋값 대란

김종윤 기자 2024. 5. 20. 07:0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엔비디아 성적표

이번 주 뉴욕증시에서 가장 큰 이벤트 중 하나가 엔비디아 실적 발표입니다. 투자자들 기대만큼 실적이 나올지 그리고 지수를 끌어올려 줄지가 관심인데요?
- 엔비디아, 이번 주 1분기 실적 발표 예정…관심 집중
- AI 열풍·뉴욕증시 상승 주도…향후 증시 향방 영향
-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3.4배·조정EPS 5.1배 예상
- 월가, 2분기 매출 전망 평균치 265.7억 달러 집계
- FT "엔비디아, 미국에서 가장 가치 있는 주식 될 수도"
- 시장, '어닝서프라이즈' 달성 기대…GPU 지배적 우위
- 엔비디아, 지난 실적 발표서 "단기 매출 가시성 높아"
- 메타·알파벳·MS 등 AI 관련 지출 대폭 확충…기대감↑
- 향후 뉴욕증시 향방에도 영향…블랙웰 정보공개 '주목'

◇ "네버" 바이든

미국 경제가 좋다고 하는데도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인플레이션, 고물가 때문인데요. 지난 3년간 집권당이 바뀐 국가가 많은데 그 이유도 인플레이션 때문이에요?
- 미 경제 활황에도 '무덤덤'…물가에 달린 바이든 운명
- 선거 승패 가르는 '인플레'…美 유권자 71% "경제 부정적"
- 6개 경합주 52% 네버 바이든 vs. 46% 네버 트럼프
- WP "2020년, 네버 트럼프가 50% 넘어…상황 바뀌어"
- 흑인 유권자들, 지난 대선 바이든 압도적 지지서 '이탈'
- 경합주 흑인 유권자 63% '바이든' vs. 27% '트럼프'
- 흑인 유권자 재정적 어려움 더 노출…지지 철회 분석
- 최근 3년간 코로나·전쟁발 인플레에 집권당 잇단 패배
- G20 중 13개국 사실상 정권 교체…정치 지형 바꾼 고물가
- OECD 38개국 중 20개국, 집권당 패배 혹은 패배 유력
- 주요국 선거, 물가 높은 상관관계…고물가-저성장 심판

◇ 라이칭더 총통

오늘(20일) 대만이 새로운 총통을 맞이합니다. 라이칭더 당선자가 취임식을 갖고 임기를 시작하죠?
- '친미·독립' 라이칭더, 오늘 취임식…4년 임기 시작
- 차이잉원 8년 집권 기조 이어 양안 '현상 유지' 예상
- 세계 경제·지정학 구도 속 대만 '존재감' 확대 전망
- 취임사 '안정·자신감·책임·연대' 4가지 주제 담을 듯
- 라이칭더, 광부 아들로 '자수성가'…반중 성향 강해
- 새 내각 첫 경제부장에 TSMC 최대 협력사 CEO 지명
- 경제 고위급 6명 중 5명, 정치인 아닌 산업계 출신
- 대만 인근 주둔 中 선박 증가…해안경비대 순찰 강화
- 중국 국방부 "항공모함 푸젠함 시험 항해 성공적"
- 미·일, 취임식에 대표단 파견…총 51개 대표단 참석

◇ 직구 헛발질

정부가 KC 인증 없는 해외 제품의 직구를 금지하는 방안을 내놨다가 사흘 만에 사실상 철회했습니다. 당초 원천 차단이 아니었다고 해명했지만, 소비자들 원성이 이만저만이 아니에요?
- 정부, 유모차 등 80개 품목 'KC 미인증' 직구 금지 철회
- 지난 16일 'KC 미인증‘ 해외 직구 금지 발표 후 논란
- "소비자 선택권 무시한 규제" 논란…추가 브리핑 진화
- 정부 "안전성 조사 결과 위해성 확인 제품만 제한" 진화
- 정부 "해외 직구 전면 금지, 차단 계획한 바 없어"
- 향후 위해성 확인 제품 공개…해당 제품 직구 금지
- 중국발 이커머스 대응 집중…국민 혼선만 가중 지적
- '직구 금지' 발표에 소비자 '혼란'…"민감성 인식 못해"
- 소비자들, 지난 사흘 동안 금지 품목 범위 두고 혼란

◇ 전셋값 대란

서울 전셋값이 1년 내내 오르고 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더 오를 거라는데요. 7월 말,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 만기 시점도 다가오고 있어요?
- 1년 내내 오른 서울 아파트 전셋값…"더 오른다"
- 서울 아파트 전셋값 전주대비 0.07%↑…52주째 상승
- 수요↑·공급↓ '수급불균형'…전세물량 반 년 만에 '뚝'
- 서울 전세매물 2만 9303건…6개월 전보다 17.1%↓
- 1000가구 넘는 대단지 전세 '0'…입주 물량도 감소
- '전세 사기' 이후 빌라·오피스텔 대신 아파트 선호
- 주담대 금리 상승에도 전세대출 활용 '저금리' 여력
- 7월말 계약갱신권 만기 시작…전셋값 대폭 상승 전망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