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미쳤다] 성공한 덴마크 기후정책 이면엔 쓰레기통 뒤지는 ‘네토피플’

김양균 기자 2024. 5. 20.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⑥빈병 보증금제도…효율 이면 도시빈민 계층화 숙제도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전 세계는 여러 기후변화 대응책을 실시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선도국의 지위 확보는 글로벌 기후탄력 개발 등 실제 이익으로 치환되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덴마크는 이러한 야심을 숨기지 않고 있다. 

그들의 선제적(혹은 과감한) 여러 기후변화 대응책은 우리에게 여러 시사점을 주는데, 극도의 효율에 맞춰진 그들의 대응은 교훈과 동시에 생각해 볼 지점도 있다. 덴마크 기후 대응에서 다뤄지지 않는 이른바 ‘네토피플(Netto people)’이 그렇다.

사진=김양균 기자

[코펜하겐(덴마크)=김양균 기자] 지난 9일 오후 7시께(현지시각). 덴마크 코펜하겐 스트란가드 25번지(Strandgade 25)에 위치한 할인상점 ‘365’ 구석에 여럿이 줄을 서 있었다.

맨 앞에 선 사람은 초록색 비닐가방에서 물병을 꺼내더니 재활용품 보증금제도인 ‘판트(Pant)’ 키오스크 안에 집어넣었다. 검은색 코트와 바지를 입은 그는 검은 배경의 꽃 그림이 수놓인 낡은 머플러로 목을 감싸고 있었다. 머리는 헝클어져 있었는데 운동화에는 진흙이 묻어 있었다.

뒤에는 검은 머리와 수염, 남색 코트 차림의 남성이, 그 뒤에는 머리가 헝클어진 금발에 흰 수염의 사내가 서 있었다. 마지막은 흰 색 후드티를 입은 남자가 있었는데 야구모자 위에 후드 티에 달린 모자까지 뒤집어쓰고 있었다. 모두 남루한 행색이었다.

365나 ‘네토(Netto)’ 등 대형 상점 대부분에는 앞선 재활용 키오스크가 설치돼 있다. 빈병과 플라스틱 제품을 반환하면 적게는 1 덴마크 크로네(약 197원)에서 3 덴마크 크로네(약 591원)를 돌려받을 수 있었다.

사진=김양균 기자

이 돈은 제품에 포함된 예치금으로, 음료 생산자는 제품가격에 예치금을 부과하고, 소비자는 예치금 표시가 된 빈 용기를 키오스크에 반환하면 예치금을 돌려받는 방식이다. 덴마크의 예치금 및 반환 시스템은 유럽 내에서 매우 성공적이어서 93% 가량의 수거율을 기록했다.

앞서 상점에서 본 이들은 거리에서 재활용 음료수 통 등을 주워다 예치금을 받으려는 것이었다. 예치금은 현금이 아닌 상점에서 구매가 가능한 교환권으로 제공됐다. 때문에 줄 선 이들보다 먼저 ‘볼 일’을 끝낸 사람들은 누적된 예치금 가격이 적힌 종이를 들고서 ‘쇼핑’을 하고 있었다. 그들은 대체로 빵과 샐러드와 같이 식료품을 샀다. 한 명은 술병 앞을 서성거리기도 했다.

상점을 찾은 ‘일반’ 소비자와는 외견상 확연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알아보기란 어렵지 않았다. 기자는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내 메시지를 확인하는 척 키오스크 앞의 줄선 모습을 촬영했다. 곧 피사체가 된 이들 중 한 명이 고개를 들더니 기자를 똑바로 쳐다보았다. 

상점 키오스크 앞 바닥 타일에만 검은 색 발자국이 여럿 묻어 있었다.

사진=김양균 기자

소비자와 네토피플

코펜하겐 전역에서 이들처럼 거리에서 쓰레기통을 뒤지는 이른바 ‘네토피플(Netto people)’을 만나기란 어렵지 않다.

더러운 배낭을 메고 있거나 ‘네토(Netto)’라고 적힌 구겨진 비닐봉투를 여럿 들고 있다면 영락없이 그들이었다. 네토피플은 종일 거리를 헤매고 쓰레기통을 헤집고 다니다 보니 땀 냄새와 악취를 풍기는 경우가 많았다. 

네토는 싼 식료품을 주로 판매하는 덴마크 내 할인상점이다. 상점의 봉투는 싸고 컸기 때문에 네토피플이 애용하는 것인지는 알 길은 없었지만, 기자가 이들을 네토피플이라고 부를 정도로 많은 수가 네토의 비닐봉지를 사용하고 있었다.

사실 덴마크의 재활용 예치금 반환 제도는 기후변화 대응과 이산화탄소 절감을 위한 고효율과 고효과성을 입증하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우리가 본받을 제도로 거론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시리아 내전 등으로 덴마크로 유입된 난민을 비롯해 인구의 9% 가량을 차지하는 이민자, 경제적 약자 등이 바로 이 재활용 제도에 기대 살아간다는 점은 여러 시사점을 준다.

사진=김양균 기자

굳이 예치금이 필요하지 않은 보통의 소비자와 그들이 소비해 버린 것을 주워 생계의 수단으로 살아가는 네토피플의 관계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으며 덴마크 내 새로운 계층 관계를 은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효과적인 기후변화 정책이 우연히 만들어 낸 이러한 역설에 대해 덴마크 정부는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덴마크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빈민촌 없는 평등한 하나의 덴마크’ 조성을 목표로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민자가 주로 거주하는 빈민촌 철거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덴마크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70% 감축을 목표로 강도 높은 기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30년은 덴마크가 기후변화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중요한 해다.

아울러 덴마크의 소비자와 네토피플의 관계는 기후변화 상황에서 선진국과 저소득국가와의 관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사회·경제·사회복지·기후변화 정책이 발달한 국가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지만, 반대로 에너지 사용량이 미미한 국가들은 더 심각한 피해에 직면하게 됩니다. 기후변화 취약국(혹은 취약한 개인과 집단)의 불안·생태적 슬픔·고통 등에 대해 어떤 인식과 감정을 가져야 하는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김록호 전(前) 세계보건기구 과학부 표준국 국장)"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