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아름다운 우리말 ‘자리붙임’

이흥우 2024. 5. 20. 00: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해 바닷가에 가서 회를 먹었다.

정황과 어울리는 이 말이 자리잡는 동안 '자리붙임'은 사라지고 말았다.

바닷가 상황에 맞게 만들어져 쓰이던 '자리붙임'이라는 아름다운 말이 제값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일상에서도 '자리붙임'이라는 말이 사용돼야 대화가 맛깔나게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이흥우 수필가·시조시인

동해 바닷가에 가서 회를 먹었다. 가자미, 도다리, 우렁쉥이 두루 섞은 모둠회를 주문하고 앉는다. 앉자마자 조갯국에 숙회 몇 점, 날미역 등이 차려진다. 회는 대부분 살아있는 고기를 식재료로 사용한다. 다른 음식은 미리 준비했다가 손님이 도착하면 즉시 내놓을 수 있지만 회는 그렇게 할 수가 없다. 미리 주문해도 손님이 도착해야 회를 뜨게 되니 기다리는 시간이 생긴다. 이 시간을 달래주기 위해 ‘자리붙임 음식’이 나온다. 정감 있는 말이다. 이좋은 우리말이 점점 사라지고 ‘스키다시’가 더 세를 타고 있다. 일본어 ‘스키다시(突き出し)’에서 온 말로 급하게 내놓는다는 의미다. 본 요리 전에 급하게 먼저 내놓는 음식이니 의미상으로는 맞다. 이 말을 대신한다고 차림반찬 또는 곁들인 반찬, 밑반찬이라는 말을 쓰는 이들도 있으나 상황에 맞는 말이 아니었다. 차림반찬은 상차림 구색을 맞추기 위해서 내놓는다는 것이고, 곁들인 반찬은 본 음식에 더불어 곁들여지는 버금음식이다. 밑반찬은 오래두고 먹어도 될 만하게 많이 만들어서 저장하면서 조금씩 덜어먹는 기본반찬이다. 어느 것도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회를 기다리면서 무료한 시간을 달래라고 먼저 내오는 음식 이름으로는 ‘자리붙임’을 따를 수가 없다. 순 우리말이라 더 정겹다. 하지만 이제는 횟집에서 먼저 나오는 음식을 스키다시라고 부르고, 사전도 그렇게 표기하고 있다. 정황과 어울리는 이 말이 자리잡는 동안 ‘자리붙임’은 사라지고 말았다.

크지도 않은 나라에서 지역이라고 소외되는 현상은 언어에서도 많이 겪고 있다. 바닷가 상황에 맞게 만들어져 쓰이던 ‘자리붙임’이라는 아름다운 말이 제값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동해안 횟집에서 정겹게 주고받던 말인데 젊은 횟집주인조차 낯설어한다. 일상적으로 쓰던 말이 왜 이렇게 소멸되어 가는지 안타깝다.

언어는 그 민족의 힘이다. 늘 쓰던 언어가 하나 둘 사라짐은 그 민족의 힘이 조금씩 변해가는 현상과 다름없다. 우리의 기층언어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문제는 그 자리에 외래어가 가랑비에 옷 젖듯 둥지를 트는데도 누구도 지적하지 않은 채 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지적하면 혹 꼰대라고 비웃음거리가 되지 않을까 해서 망설여서일 테다.

세계에는 자기네 언어를 잃거나 잊고 민족이 소멸된 사례들이 있다. 아주 번성했던 만주족이 그 대표 아닌가. 우리 언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할 언론매체에서도 외래어와 줄임말을 거침없이 써대니 나이 든 이들은 때로 어안이 벙벙해진다.

우리말 지키기의 주체는 온 국민이지만 글과 말을 무기로 생업을 이어가는 이들이 앞장서주었으면 한다. 일상에서도 ‘자리붙임’이라는 말이 사용돼야 대화가 맛깔나게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말이 표준어로 다시 쓰이기를 바라본다.

#자리붙임 #우리말 #바닷가 #차림반찬 #밑반찬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