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이 딱…‘귀네슈 감독설’ 모락모락

박효재 기자 2024. 5. 19. 20: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축구협회 “오보” 부인에도 언급
K리그 경험에 선수 이해도 높고
수락 의지 높아 현실적 대안 평가

차기 축구 대표팀 사령탑으로 셰놀 귀네슈 전 베식타슈(튀르키예) 감독(사진)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잇따른다. 대한축구협회는 오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협회 예산 등 여러 가지 제약 조건, 감독 찾기 임무를 맡은 전력강화위원회가 앞서 내건 조건 등을 고려할 때 그의 이름은 계속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튀르키예 매체 아크데니즈 게르체크는 18일 “귀네슈 감독이 10월 이후 한국 대표팀과 함께 그라운드로 복귀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계약 기간 3년에 2027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아시안컵까지 맡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은 이를 두고 “오보라고 보면 된다”며 부인했다. 감독 선임 상황에 대해서는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뒀다. 귀네슈 전 감독이 후보에서도 제외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 알려졌던 제시 마시가 캐나다 대표팀을 선택하고 다른 후보들도 줄줄이 거절 의사를 밝힌 이후 부쩍 귀네슈 전 감독의 이름이 자주 언급되고 있다. 그만큼 귀네슈 전 감독이 앞서 전력강화위가 내건 사령탑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귀네슈 전 감독은 여러 후보 중 대표팀 사령탑으로서는 가장 굵직한 성과를 낸 지도자다. 그는 2002 한·일 월드컵 당시 조국 튀르키예를 3위로 이끌었다. 이듬해 국제축구연맹(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는 3위에 올랐고, 2020 유럽선수권대회(유로) 본선에도 진출했다.

2007년부터 3년간 K리그에서 FC서울을 지휘한 경험이 있다는 것도 매력적이다. 1952년 6월생으로 만 71세 고령이지만 현대 축구 흐름에 밝고, 전술적으로도 유연성이 있는 지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4-2-3-1 포메이션을 선호하며 윙어와 풀백, 중앙 미드필더들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중앙에 공격 숫자를 많이 둘 수 있는 전술을 펼친다. 후방 빌드업을 통해 공격으로 빠른 전환을 꾀하며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성과를 일궜던 파울루 벤투 전 감독과 방향성이 일치한다.

대표팀은 다음달 싱가포르, 중국과의 2026 북중미 월드컵 2차 예선 경기를 앞두고 있다. 5월 중 감독 선임 방향을 고수하겠다면 늦어도 주초에는 구단에 선수 소집 공문을 보내야 한다. 다른 후보들보다 한국 선수단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감독직 수락 의지도 높은 만큼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박효재 기자 mann616@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