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위 신도, 육지 된다”…文정부 북한까지 연결구상, 어디까지 왔나 [방방콕콕]

지홍구 기자(gigu@mk.co.kr) 2024. 5. 19. 11: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정부 추진 서해평화도로
인천공항~북한 개성 물류 구상
영종~강화 남단 도로가 핵심 구간
영종~신도~강화 2030년 준공 목표
강화·옹진군, 인천과 첫 직결
서해남북평화도로 노선도. <연합뉴스>
1981년 경기도에서 독립해 인구 300만명 도시로 성장한 인천광역시는 10개 군·구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강화군과 옹진군은 섬이다. 강화군은 강화도, 옹진군은 강화도를 제외한 백령도 연평도 신도 등 100여개 섬으로 이뤄져 있다. 육지와 떨어져 있는 섬 특성상 육지화가 쉽지 않지만 사례가 없는 건 아니다. 강화도는 경기도 김포와 강화도를 연결하는 2개 다리(강화·초지대교)가 놓여 육지와 연결됐다. 영흥화력발전소가 있는 영흥도(옹진군 영흥면)와 그 옆 선재도(옹진군 영흥면)도 다리가 놓여있다. 경기 안산과 선재도를 잇는 선재대교가 2000년, 영흥도와 선재도를 연결하는 영흥대교가 2001년 개통하면서다.

그러나 강화·영흥·선재도 모두 인천 행정구역이 아닌 경기도와 연결된 것이어서 여전히 인천시민들에겐 심리적 거리가 존재한다.

내년엔 사정이 달라진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를 기점으로 신도(옹진군 북도면)를 연결하는 영종~신도 대교가 내년 말 준공된다. 인천 육지와 옹진을 직결(直結)한 다리가 처음으로 생기는 셈이다. 신도~강화 남단을 연결하는 대교가 건설되면 옹진·강화군(郡)이 모두 인천 행정구역과 직접 연결돼 인천 10개 군·구가 모두 육지로 연결되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영종~신도 대교’ 내년 말 준공...육지로 변하는 옹진군 북도면
영종~강화 도로의 필요성은 문재인 정부 때 극대화됐다. 영종~강화를 연결하는 도로를 ‘서해남북평화도로’로 명명하고, 2019년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에 포함했다. 북한 개성·해주 연결을 염두에 둔 사업으로 남북통일 이후 인천국제공항과 북한 지역의 물류 연계를 위해 계획됐다. 1단계 사업인 영종~신도 대교(3.26km)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 가속도가 붙었다.

인천시 중구 영종국제도시와 옹진군 북도면 신도를 잇는 영종~신도 대교는 재정사업으로 2021년 착공해 내년 말 준공 예정이다.

신도는 인근 시도, 모도, 장봉도와 행정구역(옹진군 북도면)이 같다. 장봉도를 제외한 신·시·모도는 이미 연도교로 연결돼 있어 영종~신도 대교가 준공되면 사실상 북도면 상당 지역이 육지와 연결된다. 특히 지난 14일 시도와 모도를 연결하는 길이 570m 연도교(왕복 2차로)가 준공돼 영종~신도 대교가 개통하는 내년 말이면 신·시·모도를 더 편하게 왕래할 수 있다. 시도와 모도는 기존에도 교량으로 연결돼 있었으나, 내구성이 떨어져 안전 우려가 제기됐었다.

지난 14일 준공된 옹진군 시도~모도 연도교. <옹진군>
2개군(郡) 육지화의 마지막 열쇠 ‘신도~강화 대교’...건설까지는 ‘첩첩산중’
서해남북평화도로 2단계 사업인 신도~강화 대교(11.4km)는 옹진군과 강화군을 인천 육지와 직접 연결하는 마지막 카드다. 민선 8기 인천시는 이 구간을 ‘강화평화대교’라고 부른다.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경제성 확보가 쉽지 않아 애초 계획했던 민자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시는 해당 구간을 국도로 지정하거나, 민자사업으로 되어있는 사업 방식을 재정사업으로 변경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일단 신도~강화 대교를 전액 국비로 건설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해 인천시는 국토교통부가 제6차 국도·국지도건설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수요 조사 때 영종~강화 구간을 일반 국도로 지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국도로 지정되면 정부 사업이 돼 전액 국비로 사업을 진행한다. 국토부는 올해 연말께 제6차 국도·국지도건설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인데 현재까지는 이와 유사한 요구가 전국에서 쏟아져 부정적 기류가 강하게 감지된다.

두 번째 카드인 재정사업 전환은 기대해 볼 수 있다. 행정안전부가 접경지역종합발전계획에 민자사업으로 반영된 신도~강화 대교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전환해 달라는 인천시 요구를 수용해 현재 기재부 등과 협의하고 있다.

신도~강화 대교 사업이 재정사업으로 전환돼도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야 한다. 국비 지원 규모도 크지 않기 때문에 인천시는 자체 재원 조달 계획을 함께 세워야 한다. 신도~강화 대교 사업 관련 인천시는 2년 전 추정된 사업비 4500억원 가운데 국비 700억원 지원을 요청했다. 나머지는 인천시 몫이다.

인천시는 강화 남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개발하고, 광역교통개선대책 일환으로 사업 시행자에게 건설 비용을 부담시키는 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해지려면 정부가 강화 남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고, 이곳을 개발하겠다는 사업 시행자가 나타나야 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기반 시설이 마련돼야 강화 남단 개발 여건도 마련된다”면서 “강화 남단 개발뿐만 아니라 접경지역 주민 숙원 사업 해결 차원에서 신도~강화 도로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방방콕콕’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발생하는 따끈따끈한 이슈를 ‘콕콕’ 집어서 전하기 위해 매일경제 사회부가 마련한 코너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소식부터 지역 경제 뉴스, 주요 인물들의 스토리까지 다양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현장에서 열심히 발로 뛰겠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