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봄 국내 산불 줄었는데 '지구 허파'는 불탔다…기후대응에 악영향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2024. 5. 19.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봄 국내 '산불조심기간'이 끝났다.

게다가 역대 5월 산불은 피해 규모가 커서 기후변화 대응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19일 산림청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올봄 국내 산불 피해는 175건, 피해 면적은 58㏊로 확인됐다.

올봄 산불 감소는 지난겨울 내린 역대급 강수와도 연관이 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겨우내 내린 비로 한반도 피해 줄어
캐나다 산불, 역대 최대 온실가스 배출…"산불, 기후변화 주원인"
서울 종로구 인왕산에서 산불이 발생해 산림청 헬기가 진화작업을 하고 있다.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올봄 국내 '산불조심기간'이 끝났다. 곳에 따라 산불이 났지만, 피해는 역대급으로 적었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보면 위협은 아직 크다. 게다가 역대 5월 산불은 피해 규모가 커서 기후변화 대응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19일 산림청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올봄 국내 산불 피해는 175건, 피해 면적은 58㏊로 확인됐다. 1986년 산불 통계 작성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피해가 적었다. 피해 면적은 최근 10년 평균(3865㏊)과 비교해 98% 급감했다.

올봄(3~5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24.3㎜로 평년(25.0㎜)보다는 조금 적었다. 다만 전년(22.5㎜)이나 최근 10년 평균(24.0㎜)보다는 많은 비가 내리며 산불 위협을 줄였다.

올봄 산불 감소는 지난겨울 내린 역대급 강수와도 연관이 크다. 겨우내 내린 비가 땅을 촉촉하게 적시며 산림 건조를 해소했기 때문이다. 지난겨울 전국엔 평균 238.2㎜ 비가 내렸다. 현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였다.

다만 전 세계가 산불에서 안전한 것은 아니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산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에 따르면 태평양과 접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는 초대형 산불이 번지고 있다.

캐나다 산불은 역대 5월 산불 중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 중이다. 이달 15일까지 15메가톤이 넘는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됐다.

9~16일(현지시간) 캐나다 인근에서 산불로 인한 에어로졸이 관측되고 있다. ⓒ 뉴스1

북미 지역의 산불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큰 상태다. 마크 패링턴 ECMWF 수석은 "캐나다 유콘준주와 노스웨스트준주, 앨버타주 등의 화재 위험 예보가 '높음' 수준"이라며 대형 화재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최근 5월 산불은 잦아지고 또 강해지고 있다.

캐나다에선 지난해 앨버타주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등에서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고, 미국 캘리포니아주 디지 파이어에선 역사상 두 번째 큰 산불이 발생해 축구장 35만 6000개 규모(25만3637㏊)의 숲을 태웠다. 같은 시기 스페인 카스테욘 지방과 칠레 등에서도 대형 산불이 났다.

산불이 잦아지는 것은 기후변화와 연관이 크다. 또 산불로 기후 위기는 심화한다.

숲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산불은 흡수원(LULUCF)인 숲을 파괴한다. 이는 탄소 순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를 가속한다​.

이에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를 근거로 국제적으로 합의한 종합적 산불 관리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IPCC는 종합보고서를 통해 산불을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강조하고 있다.

ac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