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넘는 조선왕의 국상 어떻게 지냈을까… 종묘 전시관 개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시대 왕실의 안녕을 빌며 경건히 제사를 지내던 이들의 손길, 왕의 신주를 모신 땅의 고즈넉함을 오롯이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드오실에서는 왕의 신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한글과 영어로 된 그림책으로 볼 수 있다.
1395년부터 1991년에 이르기까지 약 600년간 종묘가 변화한 과정은 영상으로 볼수 있다.
오향친제반차도는 국왕이 직접 종묘제례를 지낼 때 참여자들의 자리 배치를 그린 그림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한국문화재재단은 국가유산청 출범을 맞아 17일부터 향대청 내 전시 공간을 재개관했다. 망묘루 내부도 6월 30일까지 특별 공개한다. 향대청 옆에 있는 망묘루를 개방하는 건 처음이다.
향대청은 종묘제례 때 사용하는 향과 축문 등을 보관하던 곳이다. 망묘루는 조선시대 종묘 관리를 맡았던 관서인 종묘서가 있던 곳이다. 종묘제례는 종묘에 모셔진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에게 올리는 제사다.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국가제사로 일년에 다섯 번 지냈다.
신주는 망자의 영혼이 깃드는 것으로 여겨진 나무 조각이다. 신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지만 모두 밤나무로 만든다. 신주가 없으면 종이(지방)를 대신 놓고 제사를 지냈다.
1395년부터 1991년에 이르기까지 약 600년간 종묘가 변화한 과정은 영상으로 볼수 있다.
망묘루는 종묘를 바라보는 누마루(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집이라는 뜻이다. 제례를 지내러 온 국왕이 선왕을 추모하며 남긴 글을 현판으로 만들어 걸어두기도 했다.
관람객들은 누마루에 올라 연못을 바라보며 기념사진을 찍을 수 있다. 과거 종묘서는 물론 오늘날 종묘관리소의 일과도 엿볼 수 있다. 현재 종묘의 나무와 길을 가꾸고 안전과 안내를 담당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만난다. 종묘 정전 모형을 조립하는 체험 기회도 마련된다.
종묘 향대청 전시관은 상설 운영된다. 시간제로 관람할 수 있는 평일에는 해설사와 함께 1시간 동안 종묘 일원을 둘러본 뒤 전시를 볼 수 있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자유롭게 볼 수 있다. 망묘루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내부를 개방한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