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44주년…전북에도 추모 열기 확산

조경모 2024. 5. 18. 22: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오늘로 5·18 민주화운동이 44주년을 맞았습니다.

전북에서도 그날의 외침을 기리는 다양한 행사가 열려 추모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18일 새벽 전북대 학생회관 앞에서 숨진 채 발견된 고 이세종 열사.

피 묻은 옷과 시신을 덮었던 교기 등 그날의 참상을 떠올리게 합니다.

44년 전, 민주화운동이 광주만이 아닌 전북에서도 뜨거웠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습니다.

[최현정·김주원/전주시 효자동 : "5월에는 좋은 날만 있는 줄 알았어요.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이 있잖아요. 그런데 오늘 박물관에 다녀와서 5·18처럼 슬픈 날이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됐던 5·18 전북영화제도 5년 만에 다시 열렸습니다.

5·18 민주화운동을 직간접적인 소재로 다룬 장·단편 영화 6편이 내일까지 상영됩니다.

대부분 감독과 배우 등 예술인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제작한 저예산 영화들입니다.

[신민찬/전북독립영화협회 팀장 : "그때 당시 민주화운동을 열심히 하던 분, 시민군, 그다음에 그냥 참사에 휩싸인 일반인 분들을 포함한 다양한 5월의 광주 모습을 표현한 영화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도 광주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 뒤,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희생자들의 묘소를 참배했습니다.

[김관영/전북특별자치도지사 : "특히 올해는 전북 출신 고 이세종 열사께서 5·18 민주화운동 최초 희생자로 인정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오는 31일에는 5·18 민중항쟁기념 전북학술제가, 다음 달에는 이세종 열사 정부인정 사료 헌정식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그래픽:전현정

조경모 기자 (jkm@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