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 하다, 구직난에 지쳤나?”.. ‘취포생’ 대거 늘어, 36만 명 ‘훌쩍’

제주방송 김지훈 2024. 5. 18. 18: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시장 ‘빨간불’.. ‘고용 훈풍’ 속
청년 ‘구직 단념자’ 4개월째 상승세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워” 호소
‘구직 단념자’ 등 증가.. 대응 필요


최근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급기야 고용시장 진출을 포기하는 이른바 ‘취포생(취업 포기생)’ 현상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구직 단념자’ 수만 해도 36만 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 5,000명이 늘면서 4개월째 내내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나 청년층 ‘구직 단념자’가 크게 증가세를 보이면서 노동시장에 체감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구직 단념자’는 1월 1만 1,000명, 2월 5만 4,000명, 3월 5만 2,000명, 4월 4만 5,000명 등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구직 단념자’를 성별로 분류했더니 남성이 21만 2,000명, 여성이 15만 7,000명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만 6,000명, 1만 명이 늘었습니다.


‘구직 단념자’는 일단 ‘비경제활동인구’에 해당합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살이 넘은 인구 중에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을 의미합니다.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거나, 일할 능력이 없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를 통칭합니다. 지난달 기준 우리나라의 비경제활동인구는 1,596만 1,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중에 ‘구직 단념자’는 1년 내 구직활동을 했으나 직전 4주 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뜻합니다. 일자리를 구하다가 한 달 동안은 구직활동을 안했다는 얘기로, 취업을 포기한 이른바 ‘취포생(취업 포기생)’으로도 불리는데 주로 20∼30대 젊은 층에서 증가 추세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쉬었음’ 인구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쉬었음’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치료·육아·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 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난달 ‘쉬었음’ 인구는 238만 9,000명으로, 전년 대비 3만 8,000명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3만 3,000명(13.2%)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50대가 2만 3,000명(6.2%), 30대 1만 명(3.8%) 증가했습니다.

반면, 20대는 2만 9.000명(-7.5%)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쉬었음’이란 청년 인구가 늘어나는 주 이유는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움’이 꼽혔습니다.

당시 감소했던 보였던 ‘쉬었음’ 청년의 경우, 지난해 1만 1,000명이 늘면서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노동력 유휴화 현상의 심화까지도 우려케 했습니다. 2021년 41만 8,000명에서 2022년 39만 명으로 줄었던게 지난해 40만 1,000명으로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같은 ‘쉬었음’이 늘어난 주 이유는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움’이 가장 비중이 커, 노동시장 눈높이 차(미스매치)가 여전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편 실업자도 증가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실업자는 88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 1,000명 늘어 2021년 2월 20만 1,000명 이후 3년 2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째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실업률은 3.0%로 0.2%p 상승했습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실업자가 3만 9,000명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고 40대와 50대 실업자도 각각 1만 1,000명, 2만 6,000명 늘었습니다.

지난달 15살 이상 고용률은 63.0%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월간 통계를 작성한 1982년 7월 이후 4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고용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청년층 ‘구직 단념자’, 그리고 ‘쉬었음’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은 노동시장의 미스매치와 청년층의 고용시장에서 구직의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라면서 “이러한 현상은 고용시장의 구조적 난맥상을 시사하는 만큼, 청년층의 취업 지원을 위한 정책 고민과 대응이 시급하다”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