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유혈소요' 누벨칼레도니 올림픽 성화 봉송 취소

송진원 2024. 5. 18. 1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 정부가 6일째 소요가 이어지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의 2024 파리올림픽 성화 봉송 일정을 취소했다.

18일(현지시간) 일간 르피가로,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가브리엘 아탈 총리는 전날 총리실에서 열린 위기 대책 회의에서 내달 11일로 예정된 누벨칼레도니의 성화 봉송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누벨칼레도니 정부는 이번 소요로 14일부터 군도를 오가는 상업용 항공편 운항이 중단돼 3천200명의 발이 묶인 것으로 집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간인 1명 추가 사망…바리케이드에 식량·의약품 공급 차질 심각
프랑스 정치권, '유권자 확대' 개헌 일정 연기 목소리
시위대가 도로에 설치한 바리케이드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프랑스 정부가 6일째 소요가 이어지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의 2024 파리올림픽 성화 봉송 일정을 취소했다.

18일(현지시간) 일간 르피가로,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가브리엘 아탈 총리는 전날 총리실에서 열린 위기 대책 회의에서 내달 11일로 예정된 누벨칼레도니의 성화 봉송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2024 파리올림픽 성화는 이달 8일 프랑스 제2의 도시 마르세유를 시작으로 프랑스 본토와 해외령의 도시 400곳을 거쳐 7월 26일 올림픽 개막식장에 도착한다.

지난 13일 밤 시작된 누벨칼레도니의 소요 사태는 차츰 차분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일부 지역에선 총격전이 벌어져 추가 사망자가 나왔다.

누벨칼레도니의 니콜라 마테오 헌병대 사령관은 이날 북부 지방의 코뮌에서 총격전이 벌어져 민간인 남성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 소요 사태로 인한 사망자는 민간인 4명, 헌병대 2명 등 총 6명으로 늘었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총리가 누벨칼레도니 사태와 관련해 17일(현지시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소요 사태가 일주일 가까이 이어지면서 현지 주민의 일상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

누벨칼레도니 정부는 이번 소요로 14일부터 군도를 오가는 상업용 항공편 운항이 중단돼 3천200명의 발이 묶인 것으로 집계했다.

시위대가 곳곳에 설치한 바리케이드로 식량이나 의약품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위기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바이무아 물리아바 현지 공직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람들은 무력 충돌 때문이 아니라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고, 식량을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죽어가고 있다"며 "도로 통제를 풀고 의사와 간호사들이 사람들을 구할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누벨칼레도니 주민들이 "서로를 죽이고 있다"며 하루빨리 상황이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치권에선 누벨칼레도니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이번 소요의 원인이 된 헌법 개정안 처리 일정을 연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헌법을 개정해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주는 유권자 확대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경우 약 2만5천명의 유권자가 선거인 명부에 추가될 수 있다.

헌법 개정 초안은 앞서 상원에 이어 하원에서 15일 새벽 통과되면서 양원 합동회의 통과라는 최종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정부는 6월 말 이전에 양원 합동회의가 열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누벨칼레도니 전체 인구 28만 명 중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인 카나크족은 이 조치가 원주민 입지를 좁힐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야엘 브룬 피베 하원의장도 전날 총리 주재 위기 대책 회의에서 양원 합동회의 소집을 연기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s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