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니 ‘이 나라’가 세계 5위”…‘AI 사절단’이 밝힌 앞서가는 이유는 [지식人 지식in]

오수현 기자(so2218@mk.co.kr) 2024. 5. 18.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캐나다는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강국입니다.

미국 AI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주도하는 반면, 캐나다의 AI산업은 정부 자금을 지원받는 대학·국책연구기관들이 이끌다보니 보다 가치지향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작년 11월 오픈AI 쿠테타 당시 샘 올트먼 축출을 주도했던 일리야 수츠케버 오픈AI 최고 과학자(Chief Scientist)가 캐나다 토론토대 출신이라는 점도 이같은 기류와 무관치 않을 겁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AI 사절단’ 3人 인터뷰
“기술개발에만 집중해선 안돼
사회·윤리적 측면까지 연구를”
“국가의 AI연구 개발 자금지원
디지털문맹 해소 등 정책 필요”

캐나다는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강국입니다. 메이플시럽과 단풍의 나라로만 알고 있던 캐나다가 최첨단 산업의 선두주자라는 점은 다소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캐나다는 어떻게 AI분야 선두주자가 될 수 있었을까요.

지난 1~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AI엑스포 참가차 한국을 찾은 스티브 제이콥 오비아(OBVIA) 과학책임자와 시몽 차프델라인 포니아(PhonIA) 최고경영자(CEO), 루크 비넷 이바도(IVADO) 최고경영자를 만나 그 이유를 물어봤습니다. 오비아는 캐나다 퀘벡주 라발대학교 내 설치된 AI 윤리연구소입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 예산을 받는 준정부 기관이죠. 포니아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AI 기술을 통해 돕는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입니다. 이바도는 캐나다 몬트리올의 AI 연구협의체입니다.

스티브 제이콥 오비아 과학책임자
“캐나다를 구성하는 하나의 주인 퀘벡만 떼어놓고 봐도 AI 연구 분야에서 세계 5위입니다. 퀘벡이 영국, 독일, 이스라엘에 앞서 있죠. 왜 일까요. 퀘벡 AI 개발은 개발자와 (AI의) 사회적 영향을 모니터하는 연구자가 함께 하기 때문입니다. 퀘벡은 AI의 윤리적·사회적 측면을 중요하게 다룹니다. 앞서 2018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 제정된 AI윤리헌장인 몬트리얼 선언이 퀘벡의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입니다. 기술혁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점차 커지는 상황이에요. 퀘벡에서는 윤리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기술 개발은 있을 수 없습니다.”(제이콥 과학책임자)

제이콥 책임자의 얘긴 그저 기술 개발에만 주력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적 영향까지 포괄적으로 따져가며 연구를 진행하다보니 캐나다 AI 연구의 성과가 보다 보편적이고 권위있는 영향력을 갖게 됐다는 얘기입니다.

루크 비넷 이바도 최고경영자
이바도의 루크 비넷 최고경영자는 정부의 지원금이 큰 역할을 했다고 말합니다.

“딥러닝 혁명이 본격화된 2016년 이바도는 정부로부터 상당한 액수의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전에도 캐나다 정부는 AI 산업에 꾸준한 투자를 해왔지만, 이때부턴 AI 국가 정책인 범캐나다 AI전략(Pan-Canadian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y)이 본격화되면서 보다 많은 AI연구기관들이 연구 자금을 받게 됐죠. 저희는 1억2500만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새로 지원받았어요. 이같은 자금은 캐나다 내 AI 연구개발에 엄청난 기폭제가 됐습니다.”

미국 AI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주도하는 반면, 캐나다의 AI산업은 정부 자금을 지원받는 대학·국책연구기관들이 이끌다보니 보다 가치지향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작년 11월 오픈AI 쿠테타 당시 샘 올트먼 축출을 주도했던 일리야 수츠케버 오픈AI 최고 과학자(Chief Scientist)가 캐나다 토론토대 출신이라는 점도 이같은 기류와 무관치 않을 겁니다.

시몽 차프델라인 포니아 최고경영자
차프델라인 CEO는 캐나다의 AI의 두터운 인재층도 AI 강국 위상의 배경으로 꼽습니다.

“(방대한 AI 생태계가 형성된) 몬트리올은 다양한 구성의 다양한 관점을 혼합할 수 있습니다. 언어장애 해소를 돕는 AI 기술을 개발하는 저희 회사 입장에서 살펴보면 임상연구, 기술개발, 과학, 언어병리학 등 4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필요했는데, 이같은 인재가 혼재된 곳이 바로 몬트리올입니다.”

그렇다면 AI산업 육성에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제이콥 과학책임자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게 국가의 책무라고 말을 했습니다.

“대다수 국가 정부는 AI 정책을 경제발전 측면에서 바라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국가가 AI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국가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를 분석해보면 기업에 대한 보조금 등이 대부분인 반면, 디지털 문해력(리터러시)를 높이는 정책은 잘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윤리적 문제는 거의 다뤄지지 않습니다.”

비넷 CEO의 생각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최근 몇 달 동안 AI의 안전과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주요 화두였습니다. AI가 보편적으로 공유되는 가치를 준수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에 반하는 시도는 하지 못하도록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게 중요합니다.”

AI시스템을 인간이 의도한 목표, 선호, 윤리적 원칙에 맞게 조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