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8명이 벌이는 기막힌 쇼에 엄청난 것들을 담았다('더 에이트 쇼')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5. 18. 15: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 에이트 쇼’, 블랙코미디와 잔혹극 속에 담긴 현대사회의 자화상

[엔터미디어=정덕현] "편의점 알바 시간당 9860원. 유통기한 지난 김밥으로 끼니를 공짜로 해결한다 쳐도 하루 일당 78,000원. 매일 늘어나는 9억 사채 빚의 이자의 이자도 안된다." 넷플릭스 시리즈 <더 에이트 쇼>는 어쩌다 선배라는 작자의 사기에 속아 돈을 끌어다 쓰고 사채 빚에 허덕이는 진수(류준열)의 이야기로 문을 연다. 그는 이렇게 해서는 평생 빚쟁이들에게 쫓겨다닐 수밖에 없다는 걸 자각하고는 한강 다리에서 뛰어내리려 한다. 그 순간 문자 하나가 날아온다. '당신이 포기한 당신의 시간을 사고 싶습니다.' 결국 진수는 이 기막힌 쇼에 참가하게 된다.

진수가 사채 빚에 쫓기는 신세가 되고 결국 죽으려다 쇼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을 짧게 담은 <더 에이트 쇼>의 오프닝에 가까운 장면들에는 현재 한국 사회가 처한 성장의 사다리가 끊긴 현실이 담겨있다. 진수에게 사기를 친 선배는 쥐꼬리만한 월급 모아봤자 서울에 집 한 채 살 수 없다며 "우리 세대는 더 이상 그런 식으로는 미래가 없다"고 말한다. 돈은 투자로 버는 것이고 인생은 한방이라고. 이 대목을 그저 대사로 치부할 수 없는 건, 실제로 현재의 젊은 세대들이 주식과 부동산에 몰두하는 현실이 여기에 담겨 있어서다.

그런데 진수가 참여한 쇼는 바로 그 현실의 축소판처럼 펼쳐진다. 처음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누적되는 돈을 보고 좋아했지만, 8층으로 구획된 공간에 자신을 포함한 8명의 참가자가 있고 그 층에 따라 누적되는 돈의 액수 역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는 걸 알게 된다. 1층이 만원씩 누적되지만 2층은 2만원, 3층은 3만원, 4층은 5만원, 5층은 8만원, 6층은 13만원, 7층은 21만원, 8층은 무려 34만원이 누적된다. 즉 아래층 두 개를 합한만큼 위층의 시간당 누적 금액이 되는 셈이다. 처음 쇼에 들어올 때 선택한 숫자에 의해 층이 나뉘었지만 그것으로 이들이 얻는 돈이 달라졌다. 그리고 돈은 이 조그마한 8명의 사회에서도 권력이 될 수밖에 없다.

이건 우리가 현실에서 시급이니 몸값이니 연봉이니 표현하는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과거 노력해서 더 높은 몸값을 받을 수 있었던 성장의 사다리가 사라지고, 대신 어떤 수저를 물고 태어나느냐에 따라 교육이 달라지고 또 미래가 달라지는 현실은, 이 쇼가 보여주는 복불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처음에 1을 선택한 자는 똑같은 시간에도 가장 적은 돈을 버는 처지로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흥미로운 건 결국 시간이 돈인 이 쇼에서 그 정해진 시간은 계속 줄어들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어떻게든 그 시간을 늘리기 위해 안간힘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더 에이트 쇼>라는 제목에서 우리가 이미 어느 정도 예감한 것처럼, 쇼의 시간을 늘릴 수 있는 건 '재미'다. 재미 있는 쇼는 시간을 늘려서라도 계속 보고 싶어하지만, 그렇지 못한 쇼는 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8명은 시간을 늘리기 위한 갖가지 쇼를 선보인다. 처음에는 다소 평이한 쇼로 시작하지만 그건 점점 자극적으로 바뀌게 되고, 누적된 돈에 의해 위계가 생겨난 이 8명의 소사회에서는 이른바 부르조아와 프로레타리아로 나뉘어 노동의 착취와 억압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단지 8명이 모여 저마다 늘어나는 상금을 최대한 많이 얻기 위해 벌이는 쇼지만, <더 에이트 쇼>는 여기에 엄청난 이야기들을 담아낸다. 자본주의 사회가 갖고 있는 시간, 계급, 노동의 이야기가 담기고 그 착취와 전복의 서사가 그려진다. 나아가 재미에 경도된 사회, 갈수록 자극적인 영상에 중독된 사회를 꼬집고, 1층에서 8층이라는 수직적 공간에 담긴 권력을 그려내며 나아가 가진 자들의 욕망과 배설이 못 가진 자들에게 피해로 누적되는 자본화된 세상의 불평등한 환경 차별도 은유한다. 일종의 서바이벌 형식을 가진 가상쇼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 안에 담긴 현실 풍자와 은유들은 다양한 생각할 거리들을 만든다.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서사들과, 갈수록 자극적으로 변해가는 쇼가 만들어내는 서바이벌 특유의 말초적인 재미들이 펼쳐지지만, 그걸 곱씹다보면 거기 담긴 현실 은유가 주는 블랙코미디와 풍자들이 키득키득 웃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물론 이 블랙코미디가 주는 웃음은 잔혹극으로 변해가는 일련의 충격 앞에서 정신을 바짝 차리게 되고 그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8회를 쉴 틈없이 몰입감 있게 볼 수 있는 재미와 더불어, 끊임없이 의미들을 찾게 되는 작품. 넷플릭스가 야심을 가질만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넷플릭스]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