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변동성 얼마나 클까…주식의 3~4배

최용순 2024. 5. 18.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투자처인 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주식의 3~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코인 시장이 살아나면 가격 변동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작년 상반기 시장이 안 좋을 때 보다 변동성이 줄었다"며 "시장이 제도화되고 비트코인 등 주요 자산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한국 코인시장도 점차 성숙해 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균 가격변동률 62%…코스피는 15%
변동폭은 줄어…1년 반 만에 10%p↓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투자처인 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주식의 3~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트코인(BTC) 등 주요 코인을 포함한 변동률로 알트코인만 따지면 위험성은 훨씬 높아 신중한 투자가 요구된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의 가상자산사업자(VASP)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들의 평균 가격 변동성(MDD·최고점 대비 가격 하락률)은 61.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의 변동성은 14.8%, 코스닥 지수는 23.2%로 코인시장의 변동성은 코스피의 4배 이상, 코스닥의 3배에 달했다. 가상자산거래소별로 따지면 평균 가격변동성이 최고 80%에 육박하는 곳도 있었다.

또 국내 거래소 중 한 곳에만 상장된 단독상장 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단독상장 코인의 가격 변동률은 67%로 평균 대비 5%포인트 이상 컸다.

다만 국내 코인 시장의 가격 변동폭은 갈수록 줄고 있다. 지난 2022년에는 상반기 평균 MDD가 73%였지만 하반기에는 65%로 떨어졌고, 지난해 상반기(62.4%)에 이어 하반기에도 감소 추세를 보였다. 1년 반 만에 10%포인트 이상 줄어든 셈이다.

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줄고 있는 것은 비트코인 등 주요 코인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고 단독상장 김치코인 등에 대한 당국과 업계의 감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에서 비트코인의 거래 비중은 1년만에 크게 증가했다. 2022년 말 비트코인이 국내 코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6%였으나 지난해 말에는 27.5%로 높아졌다.

유동성이 부족해 가격 변동성이 큰 단독상장 코인도 감소 추세다. 2021년말 단독상장 코인은 403종이었으나 지난해 말 332종으로 2년새 70개가량 줄었다.

특히 한국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만 주로 거래되는 김치코인은 재작년말 223종에서 지난해말 133종으로 1년새 100개 가까이 급감했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코인 시장이 살아나면 가격 변동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작년 상반기 시장이 안 좋을 때 보다 변동성이 줄었다"며 "시장이 제도화되고 비트코인 등 주요 자산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한국 코인시장도 점차 성숙해 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용순 (cys@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