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고려아연, ‘2023~24 KB바둑리그’ 깜짝 우승

2024. 5. 18. 13: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24 KB바둑리그' 챔피언은 울산 고려아연에게 돌아갔다.

고려아연은 17일 서울 성동구 마장로 바둑TV스튜디오에서 열린 '2023-24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 최종 3차전에서 원익에 3대1로 승리했다.

처음 용병제를 도입한 '2023-24시즌 KB리그'는 정규리그 14라운드를 벌여 상위 4팀이 포스트시즌에 올라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민종 8단, 챔피언전에서만 3전3승
중국 용병 불참에도 선수 전원 고른 활약
객관적인 전력 열세 분석 뒤집어
울산 고려아연팀 소속 선수들이 지난 17일 서울 한국기원 바둑TV스튜디오에서 열린 '2023-24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 3차전에서 원익팀에게 승리, 최종 우승을 차지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기원 제공

‘2023~24 KB바둑리그’ 챔피언은 울산 고려아연에게 돌아갔다.

고려아연은 17일 서울 성동구 마장로 바둑TV스튜디오에서 열린 ‘2023-24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 최종 3차전에서 원익에 3대1로 승리했다.

정규리그 2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 플레이오프에서 한국물가정보를 2승 1패로 꺾었던 고려아연은 챔피언결정전에서 정규리그 1위에 올랐던 원익마저 2승 1패로 제압해 창단 2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고려아연은 정규리그에서 6전 6승을 거둔 중국 용병 랴오위안허(24)가 개인 사정으로 포스트시즌에 불참했음에도 선수 전원이 고른 활약에 힘입어 최종 우승컵을 차지했다.

1∼3국이 동시에 벌어진 최종 3차전에서 첫 승점은 막내 문민종(21) 8단이 따냈다. 3국에 출전한 문민종은 원익의 특급 용병 구쯔하오(26) 9단을 상대로 178수 만에 불계승을 거뒀다. 특히 문 8단은 챔피언결정전에서만 3전 3승을 거두며 우승의 선봉장이 됐다.

2국에선 원익의 주장 박정환(31) 9단이 이창석(28) 9단에게 178수 만에 백 불계승해 1-1 동률을 만들었다. 하지만 고려아연은 1국 장고 대국에 출전한 주장 신민준(25) 9단이 이지현(32) 9단에게 승리해 2-1로 앞섰다. 이어 4국에 나선 한상조(25) 6단이 김진휘(28) 7단에게 276수 만에 흑 4집반승으로 우승을 확정했다.

울산 고려아연팀과 원익팀 소속 선수들이 17일 서울 한국기원 바둑TV스튜디오에서 '2023-24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챔피언결정전 3차전 대국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기원 제공

8개 팀 사령탑 중 최연소인 박승화(35) 고려아연 감독은 "선수 생활을 통틀어 우승을 처음 해봤는데, 우승이 이런 기분인가 싶다"라며 "고려아연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해줘서 잘할 수 있었고, 선수들도 어려운 경기였는데 잘 싸워줬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용병 출전이 어려워졌지만, 선수들이 기세를 타면 못 말릴 성향들이라 우승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라며 "KB리그 출전에 남다른 의지를 보이고 잘해준 용병 랴오위안허 선수에게도 고맙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고려아연 주장 신민준 9단은 "(1∼2차전에서) 역전패를 연이어 당하면서 힘들었다"라며 "프로가 되고 가장 괴로웠던 순간이었던 것 같은데 팀원들이 잘해줘서 계속 힘낼 수 있었다"고 고 소감을 전했다.

처음 용병제를 도입한 ‘2023-24시즌 KB리그’는 정규리그 14라운드를 벌여 상위 4팀이 포스트시즌에 올라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2023-24 KB리그’ 상금은 우승 2억5,000만 원, 준우승 1억 원, 3위 6,000만 원, 4위 3,000만 원이다.

허재경 선임기자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