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미래] 교양 있는 사람

2024. 5. 17.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삶의 불행은 물질적 결핍이나 사회적 제약에서만 오는 게 아니다.

익숙한 대로만 세상을 경험하는 사람, 즉 마음이 완고하고 강퍅해서 아름다운 것을 보고도 감동할 줄 모르고, 숭고한 것을 보고도 위대함을 깨닫지 못하며, 거룩한 것을 만나도 경이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짜 불행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삶의 불행은 물질적 결핍이나 사회적 제약에서만 오는 게 아니다. 익숙한 대로만 세상을 경험하는 사람, 즉 마음이 완고하고 강퍅해서 아름다운 것을 보고도 감동할 줄 모르고, 숭고한 것을 보고도 위대함을 깨닫지 못하며, 거룩한 것을 만나도 경이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짜 불행하다.

'빌둥'(다산북스 펴냄)에서 독일 작가 얀 로스는 감탄을 견디지 못하는 사람, 마음을 뒤흔드는 대상에 저항하는 사람을 무교양하다고 말한다. 그들은 꽃을 보고도 무심하고 시를 읽어도 무감하며 음악을 들어도 흥 내지 못한다. 무감각하게 '노잼'의 삶을 살면서 하루하루 공허를 견딜 뿐이다.

교양은 나날의 삶을 인간적 성숙의 길, 더 나은 존재가 되어가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태도다. 제목에 쓰인 독일어 빌둥(Bildung·교양)은 본래 형성 또는 도야라는 뜻이다. 이 말엔 사람은 태어난 대로 살면 안 되고, 자기 삶을 아름다운 작품으로 빚어가야 한다는 발상이 담겨 있다. 타고난 감각을 가다듬고, 마주하는 경험을 가꾸며, 떠오르는 생각을 갈고닦아야 참된 인간에 이를 수 있다는 말이다.

일찍이 괴테는 메피스토펠레스의 입을 빌려 이야기했다. "영원한 창조가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창조된 것은 모두 무(無) 속으로 끌려가기 마련이다!" 악마란, 사악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은 없다고 믿는 존재다. 그는 자신이 무엇이든 이미 다 안다고 생각하고, 따라서 자신을 놀라게 하는 일은 없다고 믿는다. 세상사 모든 일은 반복에 불과하다고 믿는 사람, 그래서 이 세계의 신비를 냉소하는 사람의 인생은 악의 유혹에 굴복한 셈이다. 그는 무지를 앎으로, 우둔을 지혜로, 편견을 관용으로, 조야함을 세련됨으로 바꾸지 못한다.

반면 교양 있는 사람은 아름답고 비범한 것을 알아보고, 그 위대함에 감탄하기를 꺼리지 않는다. 그는 낯선 존재를 보거나 놀라운 사건을 마주쳤을 때 익숙하거나 아는 것으로 대상을 섣불리 격하해 생각의 폭을 제한하지 않는다.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정중한 정신적 존경을 표시하며, 호기심을 발휘해서 자유롭게 탐구에 나선다. 이런 사람의 삶은 나날이 좋아진다.

교양이란 더 나은 인생을 살려고, 더 좋은 사람이 되려고 고민하면서 삶을 창조해 가는 사람의 자질이다. 우리가 문학과 예술, 역사, 과학, 철학의 걸작들을 접하고, 그 어깨에 올라 세상을 보려 하는 것은 그들이 경이와 감동을 불러일으켜 우리에게 더 나은 인간으로 교양하는 길을 열어주기 때문일 것이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