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부작용 '악순환의 굴레'에도 양보 없어...암울한 의료 공백 사태

YTN 2024. 5. 17. 13: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공의 사직에 따른 의료 공백이 커지면서 정부는 잇따라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군의관과 공중보건의를 파견한 데 이어 이번에는 외국 의사를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원래는 외국 의사면허가 있어도 한국에서 시험을 통과해야만 국내 진료가 가능한데 이 절차를 없앤 겁니다.

[박민수 / 복지부 2차관 : 현재, 의료 현장에 일부 불편은 있으나, 앞서 설명 드린대로, 비상진료체계는 큰 혼란 없이 유지되고 있어, 정부는 외국 의사를 당장 투입할 계획은 없습니다.]

지금처럼 위기경보 '심각' 단계일 경우로 제한을 두긴 했지만, 의료계는 반발하고 있습니다.

의사소통은 어찌할 거며, 의료의 질도 낮아질 거라는 겁니다.

[임현택 / 대한의사협회 회장 : (국민들이) 질적으로 떨어지는 외국 의사들을 수입을 해서 치료를 받아서 마땅하다, 이런 뜻이죠. (정부는) 국민 생명에 문제가 생긴다고 하면 내가 책임지겠다, 내가 배상을 하겠다 이렇게 책임감 있는 이야기를 해야 할 겁니다.]

반발 속에서도 정부는 이런 대책들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문제는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점입니다.

일례로 개원의가 수련병원의 진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지만, 효과는 미미합니다.

또 공중보건의가 상급병원으로 가면서 정작 보건소는 비대면 진료를 늘릴 수밖에 없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대 교수들의 휴진과 사직 압박도 계속되고 있고, 만약 다음 주까지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내년에 전문의 자격시험에 응시를 못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쓸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카드는 많지 않아 보입니다.

결국, 문제가 곪아 터지기 전에, 그리고 지금처럼 그나마 버틸 수 있을 때 정부와 의료계가 접점을 찾는 게 유일한 치료제로 보입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영상편집ㅣ변지영

디자인ㅣ오재영

자막뉴스ㅣ강승민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