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發 위기...유료방송 가입자 사상 첫 감소

2024. 5. 17. 11: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넷플릭스, 티빙 등 OTT 이용이 늘면서 유료 방송을 해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도 하반기 유료 방송 가입자 수'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유료 방송 가입자는 3631만106명으로 상반기(3634만7495명) 대비 3만7389명이 감소했다.

특히 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 가입자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기부, 2023년도 하반기 가입자 발표
SO·위성방송 감소, IPTV도 증가폭 둔화
자본력 앞세운 OTT 이용 빠르게 증가
글로벌 OTT 국내 방송시장 독점 우려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넷플릭스발 유료 방송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온라인동영상플랫폼(OTT)이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유료 방송 시장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유료 방송 가입자 통계를 집계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넷플릭스, 티빙 등 OTT 이용이 늘면서 유료 방송을 해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도 하반기 유료 방송 가입자 수’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유료 방송 가입자는 3631만106명으로 상반기(3634만7495명) 대비 3만7389명이 감소했다. 유료 방송 가입자가 줄어든 것은 2015년 이 조사가 이뤄진 이후 처음이다. 위기감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 가입자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SO는 지난해 하반기 1254만1500명을 기록, 같은 해 상반기 대비 0.7% 감소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도 재작년 하반기 대비 0.77%의 감소세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위성방송 역시 2021년 상반기부터 가입자 수가 내림세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284만2704명을 기록 같은 해 상반기 대비 2.04% 감소하는 등 감소세도 2%대로 커졌다.

그나마 선전해온 IPTV 가입자 증가폭도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하반기 IPTV 가입자는 2092만5902명으로 0.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1년 상반기 증감세가 4%대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주춤해졌다.

반면 넷플릭스 등 OTT 이용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OTT 이용률은 전년(72%) 대비 5%포인트 증가한 77%에 달했다. 특히 특히 20대(97.8%)와 10대(97.6%)가 OTT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방송 대신 OTT만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국내 19세 이상 유료 방송 이용자 2만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유료 방송 이용자의 37%가 유료 방송을 해지하고 OTT 이용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TV를 보는 일이 줄어서’(31%)와 ‘TV에 볼 만한 것이 별로 없어서’(3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넷플릭스 등 OTT로 인해 방송사 콘텐츠 외면 현상이 갈수록 더 심각해 지고 있다. 막대한 자본력을 앞세운 OTT에 방송사들의 강점이였던 드라마 주도권까지 뺏긴 양상이다.

최근 히트 콘텐츠 대부분도 OTT가 만든 작품이다. ‘이재, 곧 죽습니다’(티빙), ‘소년시대’(쿠팡플레이) 등은 물론 ‘경성크리처’도 넷플릭스 작품이다. 지난해 화제작 ‘무빙’은 디즈니플러스, 사회 전반적인 열풍을 몰고 온 ‘더 글로리’는 넷플릭스가 만들었다.

하주용 인하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글로벌 OTT의 국내 방송 시장 잠식 현상은 수 년 이내 국내 채널사업과 유료방송사업의 쇠퇴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어 “글로벌 OTT가 방송시장을 독점할 경우 방송채널시장의 종속화 뿐만 아니라 문화의 왜곡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글로벌 OTT의 공세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세정 기자

sjpar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