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효과 누린 비트코인, 1조6000억원 상당 옵션 만기 앞둬[코인브리핑]

김지현 기자 2024. 5. 17. 10: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머지 이후 비트코인 대비 가치 45% 하락
SEC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거부 전망 우세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둔화세로 가상자산(암호화폐) 비트코인이 급등한 16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 전광판에 비트코인 시세가 나오고 있다. 16일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8시55분 기준, 전일 같은 시간 대비 6.5% 상승한 9210만원대를 나타냈다. 2024.5.16/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 ◇ 1조6000억원 상당 옵션 만기 앞둔 비트코인, 9000만원대서 거래

가상자산(암호화폐) 비트코인이 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둔화세 이후 상승세로 전환한 가운데 9000만원선 위에서 거래되고 있다.

17일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9시5분 기준, 전일 같은 시간 대비 0.13% 상승한 9090만원대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은 지난 15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CPI로부터 CPI 둔화세가 확인되자 1시간 만에 3%가량 급등하는 등 상승세로 전환한 바 있다.

이후 9200만원선대까지 상승했던 비트코인은 전일 1.5%가량 소폭 하락했다. 다만 9000만원선 위에서 거래되며 다시금 1억원선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다만 가상자산 옵션 거래소 데러비트에 따르면 이날 11억8000만달러(1조6000억원)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 만기를 앞두고 있다. 옵션 만기 후 통상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를 의미하는 '맥스페인' 가격은 6만3000달러로, 현 시간 기준 비트코인의 글로벌 가격은 약 6만5300달러다.

한편 이날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심리는 '탐욕' 단계에 위치해 있다. 가상자산 데이터 제공 업체 얼터너티브닷미에 따른 이날 크립토 탐욕·공포 지수는 전일보다 4포인트 오른 74포인트다. 해당 지수는 0으로 갈수록 투자심리가 극단적 공포에 가까움을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회사인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이날 기준, 거래소들의 순 입출금량은 지난 7일간의 평균 수치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순 입출금량은 거래소로 입금된 코인의 양에서 출금된 양을 뺀 값으로 현물 거래소의 경우 값이 클수록 코인의 매도 압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선물 거래소의 경우 변동성 리스크가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이더리움, 머지 이후 비트코인 대비 가치 45% 하락…"플립프닝 악몽으로 변해"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지난 머지(PoS 전환) 업그레이드 이후 비트코인 대비 가치(ETH/BTC)가 45% 하락했다.

매체는 이와 관련해 "지난 18개월간 가상자산 시장이 강세 랠리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주목할 만한 현상"이라며 "과거 강세장 기간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 폭은 비트코인을 능가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가상자산 펀드 에이시메트릭(Asymmetric) 설립자 조 맥캔(Joe McCann)은 "이더리움의 시총이 언젠가 비트코인을 넘어설 것이라는 꿈인 '플립프닝'(flippening)은 악몽으로 변했다"며 "이제 비트코인이 '울트라사운드 머니'고 솔라나는 '글로벌 슈퍼컴퓨터'이며 이더리움은 둘 다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울트라사운드 머니는 이더리움 자동 소각 메커니즘인 EIP-1559 도입 후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 '시간이 지나며 희소성이 증가하고 가치가 상승하는 토큰'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밈이다.

◇ SEC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거부 전망 우세…"소송 가능성은 낮아"

블록웍스가 복수의 업계 관계자를 인용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더리움(ETH) 현물 ETF 출시 승인을 거부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17일 전했다.

이와 관련해 "SEC는 그레이스케일과의 소송에서 패소하며 1월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다만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하루 전 '비증권 상품인 비트코인을 보유한 ETP에 한해 출시를 승인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권성에 대한 법적 명확성이 확보되지 않은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에는 SEC가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금융 전문 변호사 스캇 존슨은 SEC의 승인 거부 후 발행사가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잭스인베스트먼트리서치의 ETF 담당 이사인 니나 미슈라도 "이번에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 승인이 거절되더라도 발행사들은 다시 이를 신청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비용이 많이 들고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가 비트코인보다 떨어진다는 점에서 소송 제기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발행사들은 정부의 스탠스 변화를 기대하며 결과를 기다리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미 증권예탁결제원, 펀드 토큰화 파일럿 프로젝트 완료..."가능성 확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예탁결제원(DTCC)이 JP모건, BNY멜론, 프랭클린템플턴, 인베스코 등 주요 미국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오라클 체인링크(LINK) 등이 참여한 펀드 토큰화 파일럿 프로젝트 스마트NAV(Smart NAV)를 완료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DTCC는 보고서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의 목적은 체인링크의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 CCIP를 활용, 모든 프라이빗 혹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펀드의 순자산가치(NAV) 데이터를 불러오고 전파하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었다"며 "프로젝트를 통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온체인으로 제공하고 프로세스를 생성해 기초 데이터가 토큰화된 펀드 및 스마트 컨트랙트와 같은 온체인 사용 사례에 탑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1분기 보유 기관 414곳

블룸버그 상장지수펀드(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X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기업들의 13F 보고서(증권 보유 현황)에 따르면, 1분기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에 투자한 기관은 총 414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놀라운 기록"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신생 펀드가 20곳의 기관 보유자를 확보하는 것도 매우 드문 일이다. 지난 1월 출시된 다른 ETF들과 비교해봐도 비트코인 현물 ETF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 News1 김지현 기자

mine12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