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의 눈] 제2·3의 냉동김밥 나오려면

관리자 2024. 5. 17.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객당 김밥 하나씩만 구매 가능합니다(Please note there is currently a limit of one Kimbap per customer )."

최근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 '트레이더 조스(Trader joe's)'에서 한국산 냉동 김밥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냉동 김밥은 떡볶이에 이어 두번째로 화제가 된 한국의 수출 쌀가공식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객당 김밥 하나씩만 구매 가능합니다(Please note there is currently a limit of one Kimbap per customer ).”

최근 미국의 대형 유통업체 ‘트레이더 조스(Trader joe's)’에서 한국산 냉동 김밥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냉동 김밥은 떡볶이에 이어 두번째로 화제가 된 한국의 수출 쌀가공식품이다. 케이푸드(K-food·한국식품) 수출 성과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이민자가 개척한 다인종·다종교 국가이다. 그러다보니 글루텐프리(글루텐이 없는 음식), 비건푸드(완전 채식), 코셔푸드(유대인 율법에 따라 식재료를 선정하고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친 음식) 등 여러 목적의 제품을 우선시하고 판매 또한 잘된다.

냉동 김밥은 비건·글루텐프리 제품인 데다 여러 재료를 혼합해 건강에도 이롭고 맛도 좋아 판매가 잘됐을 가능성이 높다. 트레이더 조스에서 냉동 김밥 단가는 한개당 3.99달러(환율 1380원 기준 5500원) 정도로 한끼 식사로 저렴한 편이다. 건강하고 맛있으며 가격까지 낮으니 미국 소비자 관점에선 먹을수록 이득인 셈이다.

전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에 따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가성비 있는 제품을 많이 찾고 있다. 쌀가공식품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려면 주원료인 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가격 안정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정책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선 다음의 두가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첫째 원료 공급 안정화를 통해 가성비 있는 쌀가공식품을 개발·육성해야 한다. 특히 안정적인 원료 공급이 선행돼야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둘째 개별 기업이 아닌 단체의 힘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한다. 개별 기업이 해외시장을 개척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과당경쟁을 유발해 제 살을 깎아 먹는 행위가 나타날 수 있다. 정부가 쌀가공식품 수출협의회를 출범해 공동 마케팅을 지원하고 공동 브랜드를 통한 해외시장 판촉행사를 지원하는 이유다.

쌀가공식품 수출협의회에서는 공동 브랜드인 ‘코레시피(Korecipe)’를 출범해 과당경쟁을 막고 공동의 힘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정부 지원이 실효성 있게 늘어나야 농가, 쌀가공식품 제조사, 수출업체 모두가 이득을 볼 수 있다.

유영수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전무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