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북부 공동물류센터, 물류 수요·교통망 확충 선행돼야

경기일보 2024. 5. 17. 03:01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북부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이 표류하고 있다. 경기도가 남부와 북부의 균형발전, 중소기업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북부에 공동물류센터를 계획하고 있으나 진척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민선 8기 경기도는 북부지역 인프라 확충을 위해 집중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도 그 일환이다. 물류비 절감으로 북부지역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물류 인프라 확충이 어려운 중소 물류기업이 저렴한 임대료로 공동 이용하는 기지다. 공동화, 대형화, 정보화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경기도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을 통해 남·북부 균형발전과 기업 투자유치를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당초 지난해까지 물류센터 사업 대상지를 선정하고, 2026년까지 착공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이런 구상과는 달리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북부권에 물류센터를 짓겠다는 기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공공 주도로 물류센터를 건립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려는데 이것도 나서는 기관이 없어 장기간 표류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 상황이 악화돼 사업 타당성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도는 현재 물류센터 사업 대상지도 선정하지 못했다.

도내 주요 물류센터는 28곳이 있다. 이 중 18곳이 경부·영동고속도로가 인접한 경기 동남부 권역에 위치해 있다. 물류센터가 들어서려면 기업이 많아 물류 수요가 넘치고 교통 인프라가 좋아야 한다. 물류센터는 기업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데 경기 북부권은 교통 접근성이 낮고, 생산·수요자가 남부에 비해 열악해 투자 경쟁력이 떨어진다.

경기도는 “물류센터 건립은 기업 의사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이라며 “지속해서 사업 참여 기업을 찾고, 공공이 민간과 함께 추진하는 방향 등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북부권은 기업 등 물류센터와 직접된 수요가 많지 않은 만큼 교통 인프라 확충과 충분한 물류 수요 확보를 위한 경제·산업 활성화가 우선돼야 한다. 경기연구원의 스마트 물류센터 건립에 대한 진단이다. 연구원은 도내 유휴부지나 기존 산업단지 및 물류단지 등 미활용 용지를 발굴, 활용하는 개발 방식의 도입 검토도 강조했다.

북부에 공동물류센터 건립은 필요하다. 하지만 무조건 건물만 짓는 것은 문제다. 물류 수요가 별로 없고, 교통도 불편한데 건물만 요란하게 지어선 안 된다. 기업 투자 유치와 교통망 확충이 선행돼야 한다. 기업이 늘어야 물류도 증가하고 물류센터 활용도도 높아진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