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아스널이 싫어도.. SON 실수를 기뻐하나 → 포스텍 컬쳐쇼크 "머리부터 발끝까지 개혁 필요"

한동훈 2024. 5. 16. 19: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5일(한국시각) 토트넘 팬들은 팀의 경기 패배에 환호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토트넘 팬들의 기이한 행태에 대해 불만을 숨기지 못했다.

토트넘 공식 서포터스 THST 또한 "그가 말한 '외부'란 서포터 뿐이다. 많은 팬들이 불쾌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포스테코글루는 단지 선수단 전력 강화가 아닌 토트넘을 바라보는 팬들과 클럽 내부의 패배 의식까지 모조리 개혁이 필요하다고 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이터연합뉴스
AP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지난 15일(한국시각) 토트넘 팬들은 팀의 경기 패배에 환호했다. 앙숙이자 북런던 라이벌 아스널의 정규리그 우승 가능성을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토트넘 홈구장을 꽉 채운 관객들은 손흥민의 슈팅이 빗나가도 슬퍼하지 않았다. 오히려 실점하자 '아스널 보고있나'를 외치며 열광했다. 하지만 토트넘도 유럽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잃었다. 엔지 포스테코글루 토트넘 감독은 아군의 패배를 즐거워하는 서포터스를 보고 경악했다. '문화 충격'이라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토트넘은 아스널의 다 된 밥에 재를 뿌렸다. 이날 토트넘은 맨시티에 승점 3점을 헌납했다. 2023~2024시즌 최종라운드를 남긴 현재 맨시티가 승점 88점으로 1위로 점프했다. 아스널은 승점 86점으로 2위다. 토트넘이 맨시티 상대로 최소한 무승부를 거뒀어도 아스널이 1위였다. 이로써 자력 우승은 맨시티만 가능하다.

토트넘이 과연 기뻐할 일인지는 의문이다. 영국 매체 '텔레그라프'도 이 모습을 문제 삼았다. 텔레그라프는 '토트넘 팬들은 스몰클럽 멘탈리티를 보여줬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분노하는 것이 당연했다'고 비판했다.

포스테코글루가 '더비'를 모르는 것도 아니다. 그의 전 직장이 바로 스코틀랜드의 셀틱이다. 포스테코글루는 "나는 세계에서 가장 앙숙 관계 중 하나인 셀틱과 레인저스의 더비도 경험한 사람이다. '라이벌리'를 누구보다 잘 이해한다. 하지만 자신의 팀이 지길 원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그것은 스포츠의 본질이 아니다"라고 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토트넘 팬들의 기이한 행태에 대해 불만을 숨기지 못했다. 그는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클럽이 기반이 몹시 취약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취재진은 정확히 어떤 부분을 말하는 것인지 재차 물었다. 포스테코글루는 "내부, 외부, 그리고 모든 곳"이라며 모호하게 답했다. 이에 대해 스포츠전문미디어 '디애슬레틱'은 '포스테코글루의 분노 중 일부는 분명히 팬들을 향한 것이었다'고 짚었다. 토트넘 공식 서포터스 THST 또한 "그가 말한 '외부'란 서포터 뿐이다. 많은 팬들이 불쾌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디애슬레틱에 따르면 토트넘 내부에서도 이미 패배를 기대한 기류가 감지됐다. 디애슬레틱은 '지난 주부터 소수 스태프들 사이에서 맨시티에 져야 한다는 전망이 농담처럼 떠돌아다녔다. 지원 스태프 중 한 명은 토트넘이 맨시티전에 청소년 팀을 내보내야 한다고 했다. 이는 감독 귀에 들어갔다. 포스테코글루는 분노했다'고 폭로했다.

포스테코글루는 토트넘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토트넘은 모든 것을 변화시켜야 한다. 선수든 스태프든 우리가 정말로 변화를 원한다면 그렇다.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테코글루는 단지 선수단 전력 강화가 아닌 토트넘을 바라보는 팬들과 클럽 내부의 패배 의식까지 모조리 개혁이 필요하다고 봤다. 디애슬레틱은 '포스테코글루는 선수는 물론 클럽 전체의 문화를 완전히 바꾸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토트넘의 마지막 1부리그 우승이 1961년이다. 2008년 리그컵(EFL) 우승 이후 16년째 무관이다.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조제 무리뉴, 안토니오 콘테 등 여러 명장들이 토트넘의 지휘봉을 거쳐갔지만 비슷했다. 포스테코글루도 취임 1년이 되지 않아 거대한 벽을 마주쳤다.

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