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벌써 금리 인하 '축포' 분위기…우린 언제쯤 금리 내릴까

황인표 기자 2024. 5. 16. 18:0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가상승세가 올 들어 처음으로 둔화되면서 금리 인하 기대에 뉴욕증시가 역대 최고치로 마감됐습니다. 반대로 앞서 보신 것처럼 우리나라 성장률이 오르면 물가 상승 압력도 높아지고 금리 인하 시점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음 주 열리는 한은 금통위의 셈법이 복잡해졌습니다. 황인표 기자 나왔습니다. 황 기자, 미국 얘기 먼저 해보죠. 오늘(16일) 새벽 미 증시가 최고치를 보였다고요? 
그렇습니다. 

4월 미국 소비자물가, 전년도에 비해 3.4% 상승했습니다. 

3월 3.5%에 비해 소폭 떨어졌습니다. 

올 들어 상승세를 보이던 물가가 처음으로 낮아진 겁니다. 

금리인하 신호로 받아들이면서 S&P지수가 5,300선을 넘어서는 등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넘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우리나라 역시 동조화 현상이 강해지면서 기준금리 인하 압력이 거세집니다. 

그런데 앞서 보신 것처럼 성장률이 오른다는 건 물가 역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한은 금통위가 선뜻 금리를 내리기 어려워집니다. 

하반기에 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 겁니까? 
중동 불안으로 유가가 언제 다시 급등할지 모릅니다. 

가스와 전기, 철도 등 그간 억눌렸던 공공요금이 하반기에 인상될 수도 있습니다. 

예상할 수 없는 기상 이변으로 농산물값이 요동치는 것도 물가 변수 중 하나입니다. 

5월 중순 이례적으로 오늘 설악산에 40cm 폭설이 내렸는데요. 

강릉과 평창의 고산지대 밭 일부가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여름철 집중 폭우 또는 지난해 냉해 등이 반복되면 농산물값을 불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 3월 한 달 새 시중에 풀린 통화량만 64조 원으로 1986년 통계 작성 시작 후 한 달 새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정부의 3월 재정 지출 역시 85조 원으로 월간 최대치였습니다. 

정부가 4월 총선을 앞두고 경기 부양 차원에서 많은 돈을 풀었다는 건데 통화량 증가도 물가 불안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일주일 후 금통위가 열리는데, 금리에 대해 어떤 신호를 줄까요? 
미국 상황만 놓고 보면 우리도 금리 인하 신호가 나올 수 있지만 물가만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지난달 금통위, 이창용 한은 총재 말 먼저 들어보시죠.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지난 4월 12일) : (물가가) 연말에 2.3%까지 간다고 하면 금통위원 전체가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거 아니냐?"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시고요.] 
 

그런데 글로벌 투자은행이 예측한 물가 전망을 보면 최고 2.7%, 평균 2.5%입니다. 

이 총재가 말한 깜빡이, 즉 2.3%와는 거리가 꽤 멉니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면 결국 금리 인하, 올해는 없고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황인표 기자, 잘 들었습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