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쉬듯 무례” 피식대학 지역 비하 논란? 아슬아슬 줄타기에 결국…[종합]

김희원 기자 2024. 5. 16. 14: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타코미디 소속 코미디 크루 ‘피식대학’의 멤버 김민수(왼쪽부터), 이용주, 정재형. 사진 메타코미디



개그도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정도가 지나친 개그는 불편감을 초래한다.

현재 구독자 수 318만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이 지역비하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11일 ‘피식대학’에는 ‘경상도에서 가장 작은 도시 영양에 왔쓰유예 [경북 영양]’라는 제목의 영상이 공개됐다.

‘메이드 인 경상도’ 콘텐츠 중 하나인 영상은 부산 출신 코미디언 이용주, 울산 출신 김민수, 대구 출신 정재형이 경상도 지역을 여행하는 모습을 담았다. 당초 ‘메이드 인 경상도’는 지방소멸 이야기하는 시대에 지방을 끌어올리는 취지라며 팬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다.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



그러나 누리꾼들은 피식대학의 콘텐츠가 변질됐다는 의견이다. 공개된 영양 여행 영상에서 지인의 추천을 받은 세 사람은 경상도 영양군의 한 제과점을 찾아 햄버거빵을 평가했다.

이들은 “맛이 재밌다”, “음식에서 사연이 느껴진다”라며 “젊은 애들이 햄버거 먹고 싶은데 이걸로 대신 먹는 거다”, “내가 느끼기엔 부대찌개 같은 그런 느낌이다. 못 먹으니까 이렇게 먹는 것 아니냐”고 했다.

이후 한 전통시장의 식당으로 향한 세 사람은 “메뉴가 솔직히 너무 특색 없다” “이것만 매일 먹으면 햄버거가 얼마나 맛있을지…아까 그 햄버거가 천상 꿀맛일 거다”라며 웃는가 하면 마트에서 구매한 블루베리 젤리를 먹으며 “할매 맛이다. 내가 할머니의 살을 뜯는 것 같다”

이어 마트에서 구입한 블루베리 젤리에 대해서는 “할매 맛이다. 내가 할머니의 살을 뜯는 것 같다”고 평가하는가 하면 “내가 공무원이고 여기 발령 받으면…여기까지만 할게”라며 의미심장한 발언까지 했다.

해당 영상이 공개된 후, 누리꾼들은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이들은 “지금까지 콘텐츠 좋았는데 인기 많아지니 점점 거만해졌다. 지켜야할 선을 까먹은 것 아니냐” “아슬아슬하더니 결국 문제가 생겼다” “숨 쉬듯 무례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더해 한 누리꾼은 “지방 도시 조명한다고 시작한 콘텐츠인데 전부터 지역차별 특정층 혐오조장 발언 계속했다. 유쾌한 분위기에 묻어서 콘텐츠화하고 넘어간 거였지 딱히 이번 편에서 처음 드러난 건 아니네요”라며 해당 일이 익숙하다는 반응이었다.

한때 개그 프로그램이 줄지어 종영한 이후, 젊은 코미디언의 개그 중심지는 유튜브로 떠올랐다. 그 중에서도 ‘피식대학’ 채널은 자유로움을 토대로 해학과 풍자를 곁들인 콘텐츠들로 인기를 모았다.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



그러나 최근 이들의 개그 소재에 ‘적정선’이 없는 것 같다는 의견도 다수 포착됐다. 지난 3월 20일에는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인 ‘나락퀴즈쇼’에서 게스트 세븐틴에게 무례한 질문을 했다는 일부 팬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나락퀴즈쇼’는 게스트가 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던지고, 반응을 지켜보며 웃음을 유발하는 콘텐츠다.

풍자와 솔직함은 여타 개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피식대학’의 ‘메이드 인 경상도’와 ‘나락퀴즈쇼’등도 같은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을 지키지 않는 연출은 오히려 대중들의 불편함을 키우는 원인이 된다.

현재까지 “재밌게 봐왔는데 이번 영상은 특히 불편하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피식대학’ 측이 논란 속에 입장을 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희원 온라인기자 khilo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