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첫걸음을 '자이언츠'와 함께!" 국제 컨퍼런스 기획자→야구팀 입사. '성덕'이 된 27세 직장인의 꿈 [비하인드인터뷰]

김영록 2024. 5. 16. 14: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타 지방 사람들이 부산에 대해 갖는 대표적인 오해다.

'부산 사람=롯데팬' 공식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이미 부산 사직구장은 롯데팬만의 영역이 아니다.

"'야구장', '야구팬'이 아니라 부산의 일상생활 속에 자이언츠를 녹이고자 했어요. 초등학교 입학은 성장의 첫걸음이잖아요. 그때부터 자이언츠와 함께 하자는 거죠."

"이제 자이언츠가 야구장 밖에서 팬들과 직접 만나는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롯데 팬들이 '그때 나눠준 공책으로 팬질 시작했다'고 말하면 진짜 뿌듯할 것 같아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에 임한 오유진 매니저.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부산 사람은 다 롯데 자이언츠팬 아닌가요?"

부산에 대한 다른 지역 사람들의 품는 대표적인 오해 중 하나.

'부산 사람=롯데팬' 공식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이미 부산 사직구장은 롯데팬 만의 영역이 아니다. 3루측 응원석을 가득 채운 상대팀 응원 물결을 보는 일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장면이다. 원정팬 외에도 부산 및 근교 출신 타팀 팬들의 존재감도 상당하다. 고향의 존재감이 나날이 옅어지는 시대, 부산만 예외일리 없다.

그 만큼 갈수록 연고 구단의 지역 밀착을 위한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현실은 만만치 않다. 소비산업인 프로스포츠에겐 최근 불거진 한국 사회의 인구절벽은 말 그대로 직격탄이다. 프로야구단의 마케팅 책임자들은 800만 관중을 넘어 1000만을 꿈꾸는 현실 너머 미래의 위기를 바라보고 있다. 허구연 총재가 말했듯, 이제 프로야구의 라이벌에는 축구와 e스포츠 등 타 스포츠 종목 뿐 아니라 영화 등 다른 문화-여가생활도 포함된다.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지역사회와의 친밀감은 프로야구의 최대 자산이다. 특히 부산과 롯데에겐 더욱 그렇다. 사직구장 선수단 출입구 앞은 팬들이 뛰노는 광장이다. 선수단과 팬들의 심리적 거리를 보여준다.

스포츠팀의 사회공헌은 흔히 선수단의 각종 기부 및 일일 체육교사, 강연 등 외부 활동을 중심으로 이뤄지곤 한다. 지역 학생들의 그라운드투어 등도 꾸준히 진행된다. 여기에 롯데는 2016년부터 야구 저변 확대를 위해 교육 현장에 티볼을 보급하는 한편, 연탄배달 등 보다 지역 친화적인 활동을 통해 팬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고자 노력해왔다.

연탄 배달에 참여한 오유진 매니저.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다'고 느낀 사람이 있었다.

야구팀이 아닌 부산의 '자이언츠'로 어린이들에게도 다가서고자 했다. 자이언츠 마케팅팀 브랜드파트의 오유진 매니저(27)가 그 주인공이다.

'부모님이 좋아하니까' 함께 야구를 보러다니던 부산 어린이팬의 출신. 오유진 매니저는 "어릴 때는 부모님이 롯데팬이셨던 거고요. 제가 진짜 롯데팬이 된 건 스물 넘어서였어요"라며 민망해했다.

2010년대 이후 급격하게 늘어난 20대 여성팬. 지금 자이언츠 팬덤의 주력을 이루는 계층이다.

"'야구장', '야구팬'이 아니라 부산의 일상생활 속에 자이언츠를 녹이고자 했어요. 초등학교 입학은 성장의 첫걸음이잖아요. 그때부터 자이언츠와 함께 하자는 거죠."

지난해는 롯데 구단 리브랜딩의 원년이었다. 로고를 바꾸고, 귀여운 이미지의 누리-아라에 대조되는 강인하고 역동적인 분위기의 새 마스코트 윈지(Win-G)도 론칭했다.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이와 함께 시작된 '본투비 자이언츠' 캠페인은 말 그대로 모태 롯데팬을 양산하고자 하는 야심찬 계획이다. 지난해 부산 지역 모든 예비 초등학생들에게 가방과 색연필, 알림장 등 학용품을 제공했다. 올해부터는 줄넘기 등 체육용품을 더하고, 사직야구장에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줄넘기와 그림그리기 행사도 주최했다. 500명을 모집한 이 행사는 단 8분만에 마감됐다.

"작년만 해도 부산 초등학교 입학생이 2만4000명 정도 됐는데, 올해는 2000명 넘게 줄었거든요(2만1902명). 요즘 팬문화도 아이돌 느낌으로 바뀌고, 추세상 20대 여성팬이 늘었다곤 하는데, 지금 인기를 계속 이어가려면 어린 친구들이 더 야구에 익숙해지고, 좋아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사진제공=롯데 자이언츠

신입사원 때는 캠페인 기획에 참여했고, 지금은 최전방에서 이끌고 있다. 올해로 입사 3년차의 어린 나이지만, 국제 컨퍼런스를 기획하고 운영하던 마이스(MICE, 회의·컨벤션·이벤트 등을 총칭하는 산업) 회사에서 자이언츠로 직접 투신한 능력자다. 말 그대로 '성덕(성공한 덕후)'이 됐다.

"이제 자이언츠가 야구장 밖에서 팬들과 직접 만나는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롯데 팬들이 '그때 나눠준 공책으로 팬질 시작했다'고 말하면 진짜 뿌듯할 것 같아요."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