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전 돌입한 푸틴 방중...오늘 시진핑과 회담

강정규 2024. 5. 16. 10: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집권 5기 내각 출범 직후 중국으로 달려갔습니다.

오늘 시진핑 주석과 만나 우크라이나 장기전 지속 가능 여부를 타진할 거로 보입니다.

중국 연결합니다. 강정규 특파원!

[기자]

네, 베이징입니다.

[앵커]

방중 일정이 새벽 일찍부터 시작됐네요?

[기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현지시각 새벽 4시 전용기편으로 베이징에 도착했습니다.

1박 2일 방중 일정의 첫날을 꽉 채울 수 있는 도착 시간이죠.

푸틴은 오늘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수교 75주년 기념 공연 겸 만찬도 함께 합니다.

경제 사령탑 역할을 맡는 리창 총리와 별도 회담도 잡혀 있습니다.

내일은 동북 헤이룽장성 하얼빈으로 이동해 제8회 러시아-중국 엑스포 개막식에 참석합니다.

미사일 개발 관련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오른 하얼빈 공대에서 강연도 예정돼 있습니다.

[앵커]

5번째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중국을 찾았는데, 그 의미와 목적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승리를 표방한 푸틴 5기 내각을 꾸린 직후 이뤄지는 방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전시 국방 장관에 군 출신이 아닌 경제 관료를 앉혀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다는 평가인데요.

푸틴은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에도 방중해 시진핑으로부터 '제한 없는 협력'을 약속 받았죠.

이번에도 중국의 후방 지원을 통해 소모전을 지속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려 할 거로 보입니다.

다만, 앞서 시 주석이 프랑스 방문 때 마크롱 대통령에게 러시아 군수품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약속했다는 게 변수인데요.

당시 언급된 파리 올림픽 기간 휴전 방안도 이번 중러 정상회담에서 논의될지 관심입니다.

[앵커]

푸틴 대통령의 깜짝 방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죠?

[기자]

푸틴이 방북한다는 공식 발표는 없습니다.

다만,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방북 초청을 한 적 있기 때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때마침 북한은 지난 14일 김정은 위원장의 4연장 근거리 탄도미사일 양산 현장 시찰 일정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이를 두고 푸틴의 방북에 앞서 김정은의 무기 수출 세일즈 행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푸틴으로서는 중국의 간접 후원에 이어, 북한의 직접 무기 수출까지 과시하는 그림이 될 수 있죠.

당초 푸틴의 방중이 19일까지라는 말도 돌았는데, 이것을 김정은과 후속 회담을 추진한 흔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