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의 성공만 거둔 레전드 드라마 프리퀄 '수사반장 1958'

아이즈 ize 정수진(칼럼니스트) 2024. 5. 15.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즈 ize 정수진(칼럼니스트)

사진=MBC

'수사반장 1958'이 이제 2회를 남겨뒀다. 1971~1989년 방영된 레전드 국민 드라마 '수사반장'의 프리퀄로 방영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은 드라마인데, 솔직히 말하자면 이제야 발동이 걸린 것 같은데 끝이라고 하니 영 떨떠름하고 아쉽다. 시즌제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엔 어느 정도 성공이지만, 시즌제를 열어젖히려면 애초에 화끈한 동력을 발휘했어야 하는데 말 그대로 가능성만 타진한 느낌이다. 

10부작인 '수사반장 1958'에서 다룰 이야기는 너무 많았다. 우선 1958년으로 시대 배경을 시작한 만큼 원작 '수사반장'의 주요 인물들의 젊은 시절 모습을 담아야 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중후하고 믿음직한 최불암 배우의 '박 반장'이 아닌 이제훈이 분한 20대 박영한 형사에 적응해야 한다는 소리. 경기도 황천에서 형사로 활동하며 전국 소도둑 검거율 1위를 자랑하는 박영한의 모습은 팔딱팔딱 뛰는 활어처럼 생동감 넘쳤지만 어딘가 이제훈의 전작 '모범택시'가 오버랩되는 느낌이 있었고, 중장년의 원작과 아예 다른 캐릭터의 모습인지라 적응의 시간이 필요했다. 첫 화에서 노년의 박영한으로 등장한 최불암과 역시 형사가 된 박영한의 손자(이제훈)의 만남은 원작 팬들에게 뭉클한 장면이었지만, 젊은 박영한이 된 이제훈이 최불암의 시그니처인 "파~" 소리를 내며 웃음을 터트릴 때면 어쩐지 얼굴가죽이 근질근질해지는 느낌이랄까. 

장르의 변화에도 적응해야 했다. 물론 1989년 막을 내린 '수사반장'을 시청했던 이들과 '수사반장 1958' 시청자는 아예 다른 타깃이니 비교군이 적을 순 있겠지만, '수사반장'은 진지한 수사물이자 시대별로 양산되는 범죄에 연루된 서민들의 애환을 다룬 진지한 휴머니즘 드라마였는데 초반 '수사반장 1958'은 코믹 액션 활극과 히어로물에 가까웠다. 거지 분장을 하고 소도둑을 잡는 모습이나 서울 종남서로 부임한 이후 서장도 못 건드리는 동대문파에 뱀을 수십 마리 풀며 장안의 화제 인물로 등극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히어로물이었다. 물론 시대가 1960년대로 접어들면서 시대의 애환을 다룬 사건들을 다루며 휴머니즘 수사물의 성격을 보여줬으나 초반과 중반부의 톤이 너무 달라 갈피를 잡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사진=MBC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와 제갈량으로 포지션을 빗댄 박영한의 동료 형사들 캐릭터에 공감하는 데도 시간이 부족했다. '미친개' 김상순(이동휘)과 팔씨름대회 장사 출신인 괴력의 조경환(최우성), 부모의 반대를 딛고 경찰이 된 엘리트 신입 서호정(윤현수) 등은 짧은 시간 안에도 각각의 사연을 담아내려 애쓴 흔적이 보이지만 충분치 않은 느낌이다. 영아 실종사건을 다뤘던 4화에서 고아 출신인 김상순의 아픔을 십분 담아내긴 했지만 아무래도 짧은 시간상 주인공 박영한의 비중이 크기에 다른 캐릭터들의 매력을 발휘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오히려 네 명의 형사들을 아우르고 독려하는 수사1반 반장 유대천(최덕문)이나 빌런 역할인 종남경찰서장 출신 최달식(오용)과 새로 종남경찰서장으로 부임하는 백도석(김민재)에게 포커싱된 면이 있다. 친일파 출신에 대놓고 권력에 아부하는 빌런들의 역할은 클 수밖에 없지만, 조경환이나 서호정 같은 주요 멤버들의 존재감을 넘어설 정도인 것은 아쉬운 부분. 

1958년으로 돌아가 1960년대 초반까지를 다루며 복고 시대극의 면모를 보여야 하는 점도 '수사반장 1958'의 만만치 않은 과제였다. '야만의 시대, 진짜 형사들의 휴먼수사극'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만큼 드라마는 여전히 권력 중심부에 굳건한 친일파 세력, 권력과 결탁한 정치깡패, 증권파동과 서산개척단(극 중 고산개척단) 사건 등 국가가 나서서 자행한 범죄 등을 담아냈다. 일제로부터 독립하고 한국전쟁의 여파를 딛고 군사정권이 들어서는 혼돈과 혼란의 극치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기에 다뤄야 할 이야기가 많아도 너무 많다. 그러다 보니 변죽만 울리는 모습도 이따금 비쳐졌다. 박영한은 종남서 부임 직후부터 동대문파 보스인 정치깡패 이정재(김영성) 일당과 대립각을 예고했으나 역사 그대로 6화에서 사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것으로 처리된 이정재의 모습이 대표적. 이 드라마의 최종 보스 격으로 그려졌기에 정치깡패 이정재의 이야기를 모르는 연령대의 시청자들은 어리둥절했을 법하다.

사진=MBC

'수사반장 1958'의 아쉬운 점을 길게 늘어놓는 것은 그만큼 원작에 대한 존경심이 깊고, 또 그만큼 프리퀄 작품인 '수사반장 1958'에 대한 기대를 놓을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만약 시즌제로 이어지며 다른 시대의 모습까지 아우른다면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줬으면 하는 마음이 크다. 수십 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만큼 '수사반장 1958'에는 분명 아쉬운 점이 많다. 그럼에도 '인간다움'을 강조하는 원작의 의미와 연결고리를 놓치지 않으려 분투하는 모습은 원작을 추억하는 이들에게 어느 정도 통했을 것 같다. '대도의 창궐'이란 제목으로 증권파동을 다뤘던 7화 엔딩에서 박영한은 주범들을 잡지 못한 회한을 곱씹으며 "건물 그림자 엄청 기네"라는 말을 남긴다. '수사반장' 마지막 회에서 박 반장이 남긴 명대사 "빌딩이 높아지면 그림자도 길어집니다"가 오버랩되는 대사로, 1970~80년대나 '수사반장 1958'이 그리는 1950년대 후반~1960년대나 혹은 2024년의 현재나 통용되는 씁쓸함을 잘 드러냈다. 

부디 '수사반장 1958'이 남은 2화를 잘 마무리하길, 그리고 앞으로 있을 수 있는 그 이후를 기대해 본다. 만약 레전드로 불리는 원작이 궁금하다면 MBC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나 OTT 웨이브에서 시청 가능하다. 300, 400, 500회 특집 및 마지막 회엔 880회 등 수십 편이 업로드되어 있는데, 주인공 형사들 외에도 고두심, 김혜자, 나문희, 박원숙, 변희봉, 서권순 등 우리에게 친숙한 얼굴들이 즐비하게 등장한다. 원작의 향수를 기억하고 싶은 사람도, 원작을 모르는 젊은 시청자들도 흥미진진하게 시청할 수 있다. 

Copyright © ize & iz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