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때 제대로 감독 선임 가능한가요?’…마치 감독 놓친 KFA,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김영훈 MK스포츠 기자(hoon9970@maekyung.com) 2024. 5. 14. 1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KFA)의 시간이 흘러가고 있다. 정확히는 뱉은 말을 지킬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대한축구협회는 지난 2월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을 근무 태도 및 유명무실했던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으로 인해 경질했다.

이후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을 필두로 전력강화위원회(전력강화위)를 재편했고, 차기 감독 선임 작업에 열을 올렸다.

사진=대한축구협회
사진=대한축구협회
당초 3월 A매치까지 정식 감독 선임에 초점을 맞췄지만 당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 제대로 된 검증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고, 전력강화위는 황선홍 U-23 감독에게 임시 감독직을 맡긴 후 5월까지 정식 감독에 선임을 마칠 것이라고 계획을 바꾸며 약속했다.

4월초 제5차 전력강화위원회의에서는 감독 후보 수가 추려졌다. 정해성 위원장은 국내 감독 4명과 외국인 감독 7명 등 총 11명을 최종 후보에 올려뒀다고 말하며, 외국인 감독부터 면접을 이어갈 것이라 전했다.

계속해서 차기 감독에 대한 궁금증이 쏠리는 가운데 대한축구협회는 외국인 감독 선임으로 가닥을 잡아갔다. 제시 마치, 세뇰 귀네슈, 브루노 라즈, 헤수스 카사스 감독 등 여러 후보가 거론되는 가운데 전력강화위는 3~4명의 최종 후보를 선정, 1순위부터 세부 사항에 대한 조건을 논의 및 면접을 진행했다.

대한축구협회는 최종 후보 4인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축구계에 따르면 마치 감독이 최우선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마치 감독은 레드불 산하 잘츠부르크(오스트리아), RB라이프치히 등을 이끌었고, 프리미어리그 리즈 유나이티드 지휘했다. 잘츠부르크 시절에는 황희찬(울버햄튼)과도 연이 있어 협회와 전력강화위는 1순위 후보로 올려둔 것으로 보인다.

사진=캐나다축구협회 공식 홈페이지
하지만 14일 마치 감독의 캐나다 축구대표팀 선임 소식이 알려졌다. 캐나다축구협회는 “마치 감독과 2026년 7월까지 계약을 맺었다. 그는 곧바로 올여름 열리는 코파 아메리카 2024를 준비할 예정이며 오는 6월에는 2026 북중미 월드컵 예선에 돌입한다”라고 전했다.

앞서 대한축구협회는 마치 감독 선임을 위해 협상을 이어갔지만 연봉 및 세금 등 금전적인 부분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며 결렬됐고, 캐나다행을 바라만 봐야 했다.

이제 대한축구협회와 전력강화위는 현실적인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 앞서 100억 원 가량으로 알려진 클린스만 감독에 대한 위약금과 충청남도 천안시에 설립 중인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 설립에 은행으로부터 300억 원의 대출까지 받았다.

계속해서 거론되는 감독 모두 빅리그, 빅클럽 경험이 있거나 국가대표팀 경력이 있다. 좋은 경력을 갖고 있는 만큼 연봉이 높을 수밖에 없고, 대한축구협회에게는 재정적인 여유는 없다. 협상 과정에서 합의점을 찾아야만 하는 상황이다.

사진=대한축구협회
사진=대한축구협회
가장 중요한 건 제때 제대로 적합한 인물을 선임할 수 있는지다. 앞서 클린스만 감독처럼 한국축구에 대한 부족한 이해도와 한국문화에 적합하지 않은 지도자 선임으로 인한 헛발질은 한 번으로 충분하다. ‘빅네임’이 아니더라도 제대로 된 선임 프로세스와 한국축구와 문화에 잘 녹아들고 이해할 수 있는 인물이라면 차가워진 팬들의 시선 또한 다시 한번 돌려세울 수 있다.

정해성 위원장이 공표한 시간까지는 약 15일이 남았지만, 더 빠른 시일 내 선임이 이뤄져야 한다. 축구대표팀은 오는 6월 6일 싱가포르(원정), 6월 11일 중국(홈)과의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을 앞두고 있다. 전력상 우위를 점하고 있고, 조 1위를 달리고 있어 3차 예선 진출 가능성이 높지만 리더십의 부재가 우려된다.

보통 A매치를 앞두고 3주 전 명단 발표와 더불어 훈련 계획 등 공개되는데, 이를 고려하면 대한축구협회와 전력강화위는 이번 주까지 선임 작업을 마쳐야 차질 없이 6월 A매치 준비 과정을 밟을 수 있다.

김영훈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