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자책점 0.96’ ML 전체 1위에 빛나는 이마나가 쇼타, 그 비결은? 구종가치 1위에 빛나는 회전수 높은 포심

남정훈 2024. 5. 14. 13: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겨울 미국 메이저리그 이적 시장은 동양 선수들이 주인공이었다. 자유계약선수(FA) 최대어였던 ‘이도류’ 오타니 쇼헤이(일본)는 역대 프로 스포츠 최고액인 10년 총액 7억달러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둥지를 틀었다. 일본 프로야구 3년 연속 투수 4관왕에 빛나는 야마모토 요시노부(일본)도 메이저리그 역대 투수 최고액인 10년 3억2500만달러를 받으며 오타니의 팀 메이트가 됐다. 한국 KBO리그가 낳은 ‘천재타자’ 이정후도 6년 1억1300만달러의 거액을 받으며 다저스의 최대 라이벌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입성했다.

사진=AFP연합뉴스
이들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빅리그에 입성한 반면 이마나가 쇼타(일본)는 그렇지 못했다. 이마나가도 일본 프로야구 8년 통산 60승52패 평균자책점 3.18을 기록한 정상급 좌완투수였지만, 4년 총액 5300만달러의 계약 조건은 큰 주목을 받기엔 규모가 아쉬웠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자 지난겨울 최고의 이적은 이마나가가 되는 모양새다. 지난겨울 이전 이미 미국 메이저리그 최고의 슈퍼스타였던 오타니를 차치하고 보면, 포스팅 시스템으로 메이저리그에 입성한 야마모토와 이정후와 견줄 때 이마나가가 최고의 활약을 활약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이마나가는 14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트루이스트 파크에서 열린 2024 메이저리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이날 경기 전까지 이닝당 출루허용률 0.82를 기록하던 그답지 않게 이날 안타 7개 볼넷 3개를 내주긴 했지만,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을 앞세워 탈삼진 8개를 곁들이며 단 1점도 내주지 않았다. 4회 2사 만루 위기에서 지난 시즌 내셔널리그 만장일치 최우수선수(MVP)에 빛나는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를 만나 볼카운트 3B-1S에 몰렸음에도 침착하게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한 장면은 이마나가가 위기 순간에도 전혀 떨지 않고 자신의 투구를 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 장면이었다.

5회에도 안타 2개를 맞았지만, 산발처리하며 무실점을 이어간 이마나가는 이미 투구수가 98개에 달해 6회부터 마운드를 하이덴 웨즈네스키에게 넘기며 이날 등판을 끝냈다.

사진=AP연합뉴스
웨스네스키가 6회 2점을 내줘 컵스는 이날 애틀랜타에게 0-2로 패했지만, 이마나가는 메이저리그 최강으로 꼽히는 애틀랜타 타선을 상대로 역투하며 자신의 시즌 초반 활약이 우연이 아님을 입증했다.

이날 5이닝 무실점을 통해 이마나가는 시즌 평균자책점을 1.08에서 0.96으로 한층 더 낮췄다. WHIP은 0.82에서 0.94로 대폭 올랐지만, 여전이 이닝당 1명 이내로 출루를 허용하고 있는 이마나가다. 피안타율도 0.187에서 0.206으로 다소 올랐다. 시즌 성적은 8경기에서 46.2이닝을 던지며 5승 무패, 탈삼진은 51개를 솎아내고 있다. 이닝당 1개 이상을 솎아낼 정도로 이마나가의 구위는 메이저리그에서도 통한다.

이날 야마모토도 샌프란시스코전 선발 등판했다. 5.2이닝 4실점으로 다소 부진하며 2.79였던 시즌 평균자책점은 3.21로 올랐다. 시즌 성적 4승1패로 자신의 몸값에 걸맞는 활약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이마나가와 비교하면 아쉬운 수치다.

사진=AP연합뉴스
사진=AP연합뉴스
사진=AP연합뉴스
이마나가는 신장이 1m78로 투수치고 매우 작은 편이다.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도 92.5마일(약 148.9km)로 100마일의 공이 즐비한 메이저리그에서 빠른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마나가의 포심 패스트볼은 11.7의 구종 가치를 기록 중이다. 메이저리그 전체 1위다. 구속이 특출나지 않음에도 이마나가의 포심이 메이저리그 최고의 공으로 군림할 수 있는 비결은 분당 2500~2600에 달하는 회전수다. 더 많은 회전을 통해 구속에 비해 훨씬 더 큰 위력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야마모토의 포심 패스트볼은 95.4마일로 이마나가에 비해 2.9마일이나 빠르지만, 구종 가치는 0.4에 불과하다. 포심의 위력이 빠르기가 다가 아님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조용하게 빅리그에 입성했지만, 불과 두 달도 되지 않아 빅리그 최고의 투수로 우뚝 선 이마나가가 올 시즌 끝까지 지금의 성적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남정훈 기자 ch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