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공급실적, 연초 계획 28% 불과…지역별로 들쑥날쑥

고정현 기자 2024. 5. 14.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전국 아파트 공급 실적이 원래 계획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사비 갈등과 함께 고금리, 지방 미분양 적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냉각 등이 공급의 발목을 잡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오늘(14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는 지난 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 계획 대비 공급실적(분양진도율)이 27.7%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 아파트 공급 실적이 원래 계획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사비 갈등과 함께 고금리, 지방 미분양 적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냉각 등이 공급의 발목을 잡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오늘(14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는 지난 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 계획 대비 공급실적(분양진도율)이 27.7%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초 계획한 물량은 33만 5천822가구였으나, 실제 분양된 물량은 9만 2천954가구였습니다.

지역별 편차가 컸습니다.

광주에서는 연간 분양계획 2만 811가구 중 1만 1천889가구가 분양되며 분양진도율이 57.1%를 기록했으나, 대구에서는 분양계획 8천601가구 중 1천96가구만 분양돼 분양진도율이 12.7%에 그쳤습니다.

제주도(49.4%), 전북(45.6%), 강원(44.1%)은 분양진도율 40%를 실현하며 분양 속도가 원만한 편입니다.

울산(39.5%), 인천(34.8%), 전남(33.1%), 대전(31.6%), 충남(31.1%), 경북(28.3%) 등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그러나 경기(26.3%), 경남(22.7%), 충북(21.1%), 부산(16.9%), 서울(13.6%), 대구(12.7%), 세종(0%) 등에서의 분양진도율은 저조한 상황입니다.

분양진도율이 낮은 곳은 지역 내 미분양 물량 많아 공급 과잉 우려가 있거나 이미 분양한 사업지의 청약경쟁률이 저조하고, 지역 내 청약대기 수요는 있지만 정비사업지별 시행사와 시공사 간 공사비 갈등으로 공급 시기 조율이 쉽지 않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구와 경기는 지난 3월 현재 미분양이 각각 9천814가구와 8천340가구에 이르며, 서울은 청약 수요가 풍부하나 상당수 사업지가 분양가 책정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아울러 고금리, 부동산 PF 대출 냉각, 원자잿값 인상 등도 분양진도율 하락 원인으로 센터 측은 해석했습니다.

고정현 기자 y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