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위험 차단 ‘전고체전지’ 상용화 가속

2024. 5. 14. 11: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리튬이차전지와 달리 폭발위험을 원천봉쇄한 전고체전지 실용화를 앞당길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이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해 개발한 복합 고체전해질은 두께는 상용화된 리튬 이온전지의 분리막과 비슷한 수준이면서, 70℃의 고온에서 150 사이클 후에도 93.2%의 용량 유지율과 높은 출력 특성을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기원, 복합 고체전해질 개발
이번 연구를 수행한 임진섭(앞줄 왼쪽) 박사 연구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리튬이차전지와 달리 폭발위험을 원천봉쇄한 전고체전지 실용화를 앞당길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임진섭 박사 연구팀이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계면저항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과 고분자계 고체전해질을 결합한 복합 고체전해질을 제조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갈륨, 루비듐을 도핑한 리튬-란타늄-지르코늄-산소(GR-LLZO)로, 상온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 또한 전위 안정성이 넓어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설계에 유리하고, 황화물계 고체전해질보다 대기 중 안정성도 높다.

연구팀은 ㈜TDL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쿠에트-테일러 공침반응으로 GR-LLZO를 합성하고, 여기에 고분자계 바인더인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VDF-HFP)을 결합했다. 이후 현장 열중합 방식을 도입, 2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복합 고체전해질 박막 제조에 성공했다.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하면 액상의 모노머 용액이 양극에 함침 된 후 열을 가해 고분자로 중합되는 과정에서 복합 고체전해질과 전극 간 높은 계면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의 출력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연구팀이 현장 열중합 방식을 적용해 개발한 복합 고체전해질은 두께는 상용화된 리튬 이온전지의 분리막과 비슷한 수준이면서, 70℃의 고온에서 150 사이클 후에도 93.2%의 용량 유지율과 높은 출력 특성을 보였다.

기계적 강도는 7.01 메가파스칼(MPa)에서 9.12 MPa로 향상돼 실험 결과 구부리거나 자르고 불이 붙는 상황에서도 전지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A’ 3월 13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