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역지사지 필요"…中 왕이 "마주 보고 가기 희망"

김정수 2024. 5. 13. 21: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3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나 한중 관계에 대해 "역지사지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왕 부장은 "양국 관계의 어려움과 도전을 원치 않는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년 반 만...한중 외교장관회담
양국 관계 회복 필요성 공감
"이해·배려하고 공감대 확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3일 한중 외교정상회의에서 "역지사지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은 "양국 관계의 어려움과 도전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임영무 기자·더팩트DB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3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나 한중 관계에 대해 "역지사지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왕 부장은 "양국 관계의 어려움과 도전을 원치 않는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왕이 부장을 만나 양자 회담을 가졌다. 조 장관이 베이징을 찾은 건 한국 외교부 장관으로서 6년 반 만이다. 조 장관과 왕 부장은 양국 관계 회복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조 장관은 "지난 몇 년간 악화된 양 국민의 상호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역지사지 자세로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가운데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공감대를 확보하고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정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양국 관계 제약 요인을 최소화하고 갈등보다는 협력에 초점을 맞춰 작은 일부터 하나씩 착실하게 성과를 쌓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대외관계를 제로섬 관계로 인식하지 않고 그렇게 관리하지도 않는다"며 "민주주의 국가로서 분명한 원칙과 기준을 바탕으로 사안별, 분야별로 균형감각을 갖고 다른 국가들과 협력해 오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새로운 한중 협력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속도와 규모가 아니라 상호 신뢰 증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 기반을 다지는 데 더욱 큰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 장관은 또 "이번 방문은 한국 외교장관이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베이징을 방문하는 것이고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며 "방문을 위한 방문에 그치지 않고 양국 간 얽혀있는 실타래를 하나씩 풀어서 한중 관계가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도록 물꼬를 트는 첫걸음이 돼야 한다"고 했다.

또 조 장관은 "북한의 연이은 도발, 여러 지정학적 갈등,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 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다양한 도전 과제에 양국이 직면해 있는 만큼 양자 관계뿐만 아니라 공동의 도전에도 함께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공동의 의지와 신뢰를 다지고 향후 협력 방향을 구체화해 나가는 것이 이번 방중의 큰 목적"이라며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한 쪽이 아닌 양국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왕 부장은 "올해는 중한 수교 이후 양국이 호혜적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는 32년이 되는 해"라며 "중한 수교와 관계 발전은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고 양국 국민들의 염원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중한 관계에 직면한 어려움과 도전이 현저히 늘어났다"며 "이는 양측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지 않고 중국 측이 원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왕 부장은 "한국이 중국과 함께 양국 수교의 초심을 고수하고 선린 우호의 방향을 견지하며 호혜 협력의 목표를 지킴으로서 방해를 배제하고 서로 마주 보고 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한 양국은 가까운 이웃 나라이고 자주 왔다 갔다 해야 한다"며 "이는 양측이 이해를 증진하고 상호 신뢰를 강화해 협력을 추진하는 데 유익하다"고 덧붙였다.

한국 외교부 장관이 양자 회담을 위해 베이징을 방문한 것은 지난 2017년 11월 강경화 당시 외교부 장관 이후 6년 반 만이다. 2022년 8월에는 박진 전 장관이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왕이 부장과 만나 회담한 바 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