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경×이랑, 장르·세대 초월한 두 작가의 ‘아름다운 조우’ [전시리뷰]

정자연 기자 2024. 5. 13. 19: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원시립미술관 ‘2024 아워세트: 성능경×이랑’ 展
8월4일까지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서 개최
원로 작가 성능경·청년 싱어송라이터 이랑의 조화
4개로 주제 나눠 그림·사진·설치영상 33점 전시
성능경 작가의 ‘시축문부채’. 정자연기자∙수원시립미술관 제공

 

“젊은 분과 미술행위를 하는 게 나는 손해 볼 게 하나도 없어요. 상상력이 많은 사람을 좋아하는데 딱 그런 것 같아요. 훌륭한 가수와 전시를 함께할 수 있어 행운이고 행복합니다.”(성능경) “그동안 해온 작업이 미술관에서도 전시가 될 수 있구나 생각해 감격스러웠어요. 무엇보다 성 작가께서 매일매일을 메모하시고 성실함으로 미술을 대하시더라고요. 그 태도를 배웠습니다.”(이랑)

1세대 전위예술가 성능경과 청년 싱어송라이터 이랑의 예술세계가 한 곳에 응집됐다. ‘저항’을 키워드로 각자의 영역에서 예술적 행위를 선보여온 이들의 작품은 다루는 매체와 40년의 나이 차, 성별을 아무렇지 않게 뛰어넘었다.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에서 지난달 26일 개막한 ‘2024 아워세트: 성능경Х이랑’ 전시에선 서로 다른 매체를 다루는 창작자 간의 협업을 넘어 이질적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 개념미술가 성능경은 자본주의에 종속되지 않은 비물질 예술을 평생 이어오고 있다.

“없음 여김을 당하다 분에 넘치는 대접을 받고 있다”는 그의 표현대로 성 작가는 지난해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주요 작가로 초대되기 전까지 제도권 미술계에서 ‘아웃사이더’의 길을 50년 가까이 걸었다. 그 중심에는 억압과 탄압에 대한 저항이 있다. 1970년대 독재정권의 언론탄압을 풍자하며 신문을 읽고 오리는 ‘신문: 1974. 6. 1. 이후’ 등 문자가 떨어져 나간 신문지 작업들로 한국 개념미술과 전위실험미술의 터전을 닦았다.

이랑 작가의 ‘이 빵을 먹었어’ 뮤직비디오. 정자연기자∙수원시립미술관 제공

이랑은 고통과 가난, 죽음, 불안이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사회구조에 의문을 제기하는 싱어송라이터다. 2017년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받은 ‘최우수 포크 노래상’ 트로피를 즉석에서 경매에 부치는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예술인의 가난을 마땅히 여기는 사회, 청년의 절망 등에 목소리를 냈다. 전시에선 청년들이 느끼는 심정을 담은 뮤직비디오와 가난한 자를 업신여기는 사회에 대한 풍자를 담은 노래 등이 어우러진다.

전시장에서 포즈를 취한 성능경 작가(왼쪽)와 이랑 작가. 정자연기자∙수원시립미술관 제공

범상치 않은 둘의 만남은 자발적 비주류들의 강렬한 목소리와 약자에 대한 따뜻한 시선, 동질감을 공통으로 안고 있다.

4개의 분야로 나뉘어 소개되는 전시는 두 창작가의 궤적을 모은 그림과 사진, 설치영상 등 33점이 전시됐다.

전시는 세대와 성별, 이념이 충돌하고 빈부격차가 커지는 시대적 단절을 한반도를 통해 들여다본 ‘가깝거나 먼’에서 출발한다. 이어 ‘편집술’에서 1970~80년대 성능경의 신문 비물질 예술 실험과 이랑의 ‘늑대가 나타났다’ 노래가 병치돼 두 작가의 관점을 잇는다. ‘분신술’에선 장르를 넘나드는 두 작가의 전방위 예술가의 면모를, ‘시간예술’에선 매일을 기록하고 시간과 그 경계에서 지속되는 두 작가의 창작을 만날 수 있다.

고정화되지 않고 변주되는 작가들의 작품과 창작세계를 엿보는 재미는 덤이다.

(왼쪽부터) ①성능경 작가의 대동여지도_통일 Korea. ② ‘2024 아워세트 성능경×이랑’ 전시 전경. 정자연기자∙수원시립미술관 제공

성능경 작가의 신문오리기와 읽기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데, 신문의 위기에 대비한 신문읽기의 방법 역시 전시됐다. 성 작가가 2021년 작성한 ‘신문읽기 행위 얽이 개념서에 덧붙이는 글’에서는 ‘2. 환경 매체의 바뀜과 달라짐-2000년 처음을 지나 소통환경이 전자매체로 빠르게 바뀌면서 종이 매체의 힘이 줄어들어 사라지게 될 꼴이 되었다. 그랫을 때 신문읽기 하기질의 목숨이 끊어져 살아있는 힘을 부려 쓸 수가 없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예견했다.

다양한 직업을 가진 노동자들의 반복과 숙련된 행위로 안무를 짠 이랑의 ‘신의 놀이’ 등 뮤직비디오 8편은 스크리닝되며 곡의 박자와 리듬, 메시지가 어떻게 시각화되는지 볼 수 있다. 예술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 일상을 만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8월4일까지 이어진다.

정자연 기자 jjy84@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