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특검, 거부권 행사 말라”···또래 청년들의 외침

전지현 기자 2024. 5. 13. 19: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 상병 특검 거부권 저지 청년대학생 긴급행동’ 회원들이 1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채 상병 특검 거부권 반대 집회에서 손피켓을 들고 있다. 성동훈 기자

우리는 채 상병이 입지 못했던 구명조끼를 입고 이 자리에 있습니다.”

20·30세대 청년들이 빨간 구명조끼를 입고 13일 오후 6시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 모였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관련 특별검사법(채 상병 특검법)에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채 상병은 지난해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실종자 수색에 구명조끼도 없이 투입됐다가 급류에 휩쓸려 순직했다. ‘채 상병 특검 거부권 저지 청년·대학생 긴급행동’에 동참한 청년 80여 명은 이날 기자회견을 겸한 집회를 열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다시 대통령실 앞에 모일 것”이라며 “순직 1주기를 부끄럽지 않게 맞이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청년들은 “나도 그 물살에 휩쓸릴 수 있었다”는 글귀가 쓰인 플래카드 앞에 모였다. 이들은 채 상병의 순직이 남일 같지 않기에 거리에 나섰다고 했다.

‘채 상병 특검 거부권 저지 청년대학생 긴급행동’이 13일 연 주최한 집회에 참석한 직장인 김모씨가 손팻말에 적은 ‘구명조끼 하나만 입혔어도’라는 문구가 보인다. 전지현 기자

서울 관악구에 사는 직장인 김모씨(34)는 “군대를 이미 다녀 온 동생과 이제 군대를 가야 하는 동생이 있다”며 “이런 황당한 죽음이 일어나는 나라여선 안 된다는 생각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그는 “명령을 거부할 수 없는 어린 군인들을 구명조끼 하나 없이 물 속에 들여 보낸 것이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손팻말용 도화지에 ‘구명조끼 하나만 입혔어도…’라고 적었다.

또 다른 죽음을 막기 위해 특검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이들은 ‘청년이 죽지 않는 나라로’ ‘누구도 죽지 않는 사회를 원합니다’ 등을 손팻말에 적었다. 이영헌 진보대학생넷 서울·인천지부 대표는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청년에게 1년 동안 국가가 보여준 것은 외면”이라며 “이 나라의 군인이 왜 위험한 물살에 구명조끼 하나 없이 투입되어야 하는지, 왜 수사에 외압 있었는지 밝히지 않는다면 제2의 채 해병이 억울한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통상 통신자료 보관 기한인 1년이 넘기 전에 특검법이 통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병대예비역연대 법률자문역인 김규현 변호사는 “수사할 때 통신기록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며 “특검을 꾸리는 시간을 감안하면 5월 중 특검법이 통과되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채 상병 특검 거부권 저지 청년대학생 긴급행동’ 회원들이 1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 거부권 반대 집회에서 손팻말을 들고 있다. 성동훈 기자

긴급행동은 14일부터 대학가에 채 상병 특검 진행을 촉구하는 대자보를 붙일 예정이라며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그날 오후 6시에 다시 집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년들은 대통령실 방향으로 “채 상병 특검, 진상규명!”을 한 목소리로 외쳤다.

채 상병 특검법은 지난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야권 단독으로 의결됐다. 윤 대통령은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진행 중인 수사와 사법절차를 좀 믿고 지켜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며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전지현 기자 jhy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