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로에서] 中企 승계 지원보다 상속세율 인하가 먼저

김동은 기자(bridge@mk.co.kr) 2024. 5. 13. 17: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기업이 원할 경우 정부와 민간 투자기관들이 나서 해당 중소기업이 다른 기업에 인수·합병(M&A)되도록 적극 돕겠다는 내용이다.

승계받을 사람을 찾지 못한 중소기업들이 폐업을 선택해 해당 기업의 기술과 노하우가 사장되는 일을 막기 위한 대책이라는 설명이다.

일본 역시 M&A를 고려하는 중소기업들이 많다고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기업이 원할 경우 정부와 민간 투자기관들이 나서 해당 중소기업이 다른 기업에 인수·합병(M&A)되도록 적극 돕겠다는 내용이다. 승계받을 사람을 찾지 못한 중소기업들이 폐업을 선택해 해당 기업의 기술과 노하우가 사장되는 일을 막기 위한 대책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대책은 문제의 핵심을 건드리지 못한 고육책일 뿐이다. 회사를 이어받을 자식이 없어 폐업을 선택하는 중소기업은 없다. 우리나라의 저출산율이 심각하다곤 하지만 중소기업을 물려줄 나이가 된 60·70대 기업인들이 한창 활동할 때는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기 한참 전이다.

많은 중소기업인들이 폐업을 하거나 기업을 팔겠다고 결심하는 진짜 이유는 악명 높은 '상속세'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속세율이 50%로, 자녀에게 지분을 물려주면 그 자녀는 절반을 나라에 세금으로 내야 한다. 이후에도 주 업종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고 고용인원도 유지해야 하는 등 각종 제약에 얽매인다. 그러다 보니 지분을 팔아 현금을 물려주거나 아예 폐업하는 것이 속 편하다는 게 기업인들의 얘기다. 특히 자녀들이 잘 성장해 나름 일가를 이뤘다면 고민 없이 폐업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법안을 만들면서 일본의 사례를 참고했다. 일본 역시 M&A를 고려하는 중소기업들이 많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일본은 한국과 함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은 55%의 상속세율을 자랑하는 나라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높은 상속세율이 유지되는 이유는 뭘까. 상속세율을 낮추면 부자들만 행복해진다는 포퓰리즘적 주장이 판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총선이 끝나자 오히려 '부자 증세'로 구멍 난 재정을 메꾸자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지난 정권부터 이어진 퍼주기 정책으로 구멍 난 재정인데, 그 청구서를 엉뚱한 기업인들에게 떠넘기자는 뻔뻔한 주장이다.

국회가 상속세법만 손보면 중소기업들은 스스로 문 닫는 일 없이 영속하며 기술과 노하우를 이어갈 수 있다. 22대 국회는 전임자들과 다르길 바란다.

[김동은 벤처중기부 차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