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CTP-국립중앙과학관, 2024 올해의 과학도서 독후감 대회 개최

2024. 5. 13. 1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 전재형 사무총장)와 국립중앙과학관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 증진 및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2024 올해의 과학 도서 독후감 대회(이하 독후감 대회)'를 개최한다.

전재형 APCTP 사무총장은 "2023년 선정된 10권의 과학도서로 '2024 올해의 과학 도서 독후감 대회'를 개최하게 돼 기쁘다. 이번 대회를 통해 청소년들이 과학도서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과학·창의활동에 대한 견해를 넓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APCTP는 과학 대중화를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해 양질의 과학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 전재형 사무총장)와 국립중앙과학관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 증진 및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2024 올해의 과학 도서 독후감 대회(이하 독후감 대회)’를 개최한다. 본 대회는 APCTP에서 선정한 2023년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대상으로 국립중앙과학관과 협력해 진행한다.

* 2023년 올해의 과학도서 :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케빈 랠런드),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고 있습니다(김범준), 우주탐사의 물리학(윤복원), AI 지도책(케이트 크 로퍼드), 나는 사이보그가 되기로 했다(피터스콧-모건), 이토록 굉장한 세계(에드 용), 나노화학(장홍제),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민태기), 기술에게 정의를 묻다(이채리), 면역(필리프 데트머)

전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및 학교(단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독후감 대회는 5월 1일(수)부터 8월 31일(토)까지 온라인 접수가 가능하다. 개인/단체 부문의 대상 수상자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함께 부상이 지급된다.

대회 상세 일정 및 세부사항은 APCTP 홈페이지 또는 웹저널 크로스로드 홈페이지 팝업창 및 배너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안내정보를 통해 독후감 원고를 접수·제출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APCTP 연구기획팀으로 하면 된다.

* APCTP 홈페이지 : https://apctp.org * 크로스로드 홈페이지: https://crossroads.apctp.org

전재형 APCTP 사무총장은 “2023년 선정된 10권의 과학도서로 ‘2024 올해의 과학 도서 독후감 대회’를 개최하게 돼 기쁘다. 이번 대회를 통해 청소년들이 과학도서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과학·창의활동에 대한 견해를 넓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APCTP는 과학 대중화를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해 양질의 과학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APCTP는 정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R&D)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업 성과물에 따른 과학 콘텐츠의 성과 확산 및 사회 환원을 수행하며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소개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는 국내 최초이자 한국의 유일한 국제이론물리연구소로, 1996년 설립 이후 이론물리학 및 학제 간 첨단 연구, 젊은 과학자 연수, 대중과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18개 회원국을 비롯한 그 외 지역 이론물리학자들과 국제 협력 증진을 통해 아태 지역 과학자들의 연구 경쟁력 향상 및 세계적 수준의 차세대 과학 리더 양성에 힘쓰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국, 호주,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캐나다, 키르기스스탄, 인도네시아 18개국이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 뉴스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