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호수 점령한 '외래 어종'

허지희 2024. 5. 13. 07: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토종물고기와 알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외래 어종들이 우리 호수를 점령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이 잡히다 보니, 보관할 곳이 없어서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허지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충주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뭔가를 가득 실은 트럭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트럭은 계측장을 거쳐 처리장에 들어섭니다.

얼어 있는 생선입니다.

[박병조/어민] "거의 다 블루길만 한 차 싣고 왔네요. 그냥. 떼거지로 다니니깐 한번 들어오면 몇 백kg씩 들어온다고 이게."

뱀장어, 붕어 같은 토종 치어와 알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유해 어종입니다.

지난 넉 달 동안 충주호에서 잡아 얼린 건데 모인 양만 4.5톤가량입니다.

잡히는 양은 너무 많은데 찾는 사람은 없고 보관할 곳이 적다 보니 쓰레기로 처리해 가스라도 생산하는 겁니다.

[김선태/충북 충주시 축수산과 주무관] "토종 어류의 생태계를 완전히 교란시켜서 일반 어업인 소득에 매우 막대한 지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본 사업이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나 잡히는 걸까?

어업에 동행했습니다.

전날 던진 그물을 걷어올렸더니 대부분 걸려 있는 건 누치와 블루길입니다.

다른 그물은 전체가 블루길로 뒤덮였습니다.

한번 그물을 던지면 70%가 유해어종 차지라고 합니다.

유해어종의 횡포는 최상위 포식자 강준치의 활동이 왕성해지면 더 심각해집니다.

특히 금어 기간이 지나고 나면 하루에도 수십 KG씩 잡혀 어민들의 생활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유지한/충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 사무장] "어구를 망쳐요 이게. 원체 많이 걸리니까 그렇다고 일일이 다 뺄 수 없는 거거든. 그물도 찢어지고 그러니깐 어구 손실도 많지."

이런 유해어종을 잡아 일부에선 식용이나 비료로도 개발하고 있지만 잡히는 만큼 소비가 안 되는 게 현실입니다.

[심기환/충주자율관리어업공동체 회장] "일반인들은 외래어종인 관계로 못 먹는 고기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음식 레시피를 개발해서…"

올해는 15톤을 수매 처리하기로 한 충주시는 벌써 전체 예산의 1/3를 쓴 상태입니다.

생태계 안정을 위해 해마다 토종 치어를 방류하고도 있지만 이미 우리 내수면을 잠식해버린 유해어종.

누구도 찾지 않는 쓰레기 신세가 됐습니다.

MBC뉴스 허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today/article/6597711_36523.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