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원전 수주전 러시… “기술+자금에 외교 만반 준비를”

이진경 2024. 5. 12. 20: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탄소 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위해 원자력 발전으로 눈을 돌리는 나라가 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체코를 비롯해 폴란드, 네덜란드 등이 새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밝힌 대표적인 나라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늦어도 7월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자가 정해질 전망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최근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와 원자력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 계획에 서명하는 등 체코 원전 수주 지원에 나선 게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규 원전 경쟁은 ‘국가대항전’
체코·폴란드 등 이어 英 건설 계획
체코, 최대 4기 추진… 韓·佛 ‘2파전’
마크롱 대통령, 수주 지원전 나서
네덜란드선 韓·美·佛 ‘3파전’ 예고
원전 수출 ‘국가 간 비즈니스’ 성격
일각 “정상급 외교 수반돼야” 지적

탄소 중립과 에너지 자립을 위해 원자력 발전으로 눈을 돌리는 나라가 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체코를 비롯해 폴란드, 네덜란드 등이 새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밝힌 대표적인 나라다.

원전 생태계 부활을 꿈꾸는 한국도 민관이 ‘팀코리아’를 구성해 이들 사업 수주에 나섰으나 일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기술 경쟁력이 강점이지만 원전은 ‘국가대항전’이기에 무엇보다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4호기. 연합뉴스
12일 업계에 따르면 늦어도 7월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자가 정해질 전망이다. 체코는 두코바니 및 테믈린 지역에 1200㎿ 이하 원전 최대 4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한국(한국수력원자력)과 프랑스(프랑스전력공사·EDF)의 2파전이다. 원전 노형 자체를 수출하는 것으로, 성공한다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13년 만의 성과가 된다.

폴란드는 수도 바르샤바로부터 240㎞ 떨어진 코닌에 신규 원전 2기를 짓기로 했다. 한수원은 2022년 10월 폴란드전력공사, 민간 발전사 제팍과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한 상태로, 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한수원은 네덜란드가 제일란트주 보르셀 지역에 추진하는 원전 2기 건설도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체코 원전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외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EDF도 조사에 착수해 경쟁이 예상된다.

이밖에 영국도 2050년까지 24GW의 원전 설비를 갖춘다는 목표 아래 최대 8기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해 원전 업계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12일(현지시간) 한국전력이 영국 정부와 웨일스 해안에 새로운 원전을 건설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외 원전 건설 수주는 탈(脫)원전으로 느슨해진 국내 원전 생태계 복원에 큰 의미를 갖는다. 일감 증가와 고용 창출, 생산확대 등 파급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친(親)원전으로 돌아선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한국의 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도 기대된다.

체코 수주전에서 한국은 프랑스와 비교해 기술·가격 경쟁력이 앞서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UAE의 극한 환경에서 바라카 원전을 일정대로 준공한 경험도 있다.

그러나 “유리한 위치라고 말할 수 없다. 뚜껑은 열어봐야 안다”고 업계는 우려한다. 원전 수출이 단순히 가격·기술력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닌 ‘국가 간의 비즈니스’기 때문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최근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와 원자력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 계획에 서명하는 등 체코 원전 수주 지원에 나선 게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 등이 올해 체코를 방문해 주요 인사를 만나 원전 세일즈를 벌였다.

특히 전문가들은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일각에서는 프랑스와 같은 정상급 외교 행보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원전 수출을 위해서는 기술력과 자금력, 외교력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며 “지급 보증 등으로 재원을 뒷받침해주고, 원전 수입국이 협력·지원을 바라는 다른 산업 분야를 파악해 원전을 중심으로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도 “바라카 원전 수출할 때 보면 정부가 최고 역량을 기울였다”며 “한국이 원전 기술 개발을 지속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략 노출과 실패 시 부담 등 때문에 정부가 공개할 순 없겠지만, 최종 결정까지 물밑 작업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진경·서필웅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