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이 열광하는 ‘불닭 볶음면’...삼양식품, 결국 일냈다

2024. 5. 11. 11: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불닭볶음면이 결국 신라면의 아성을 무너뜨렸다.

불닭볶음면의 해외 돌풍에 힘입어 삼양식품의 시가총액이 결국 농심을 넘어선 것이다.

이에 따라 삼양식품의 시가총액은 종가 기준 2조4520억원으로, 농심(시총 2조4483억원)을 앞서며 라면업계 1위가 됐다.

올해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수출에 힘입어 올해 1조4000억원대 매출, 1800억원대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양식품, 30년 만에 시총에서 농심 제쳐
라면업계 시총 왕좌 탈환
꺼지지 않는 불닭 인기에 향후 전망도 ‘맑음’

 

'불닭 신화'를 만든 주인공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 사진=한국경제신문



불닭볶음면이 결국 신라면의 아성을 무너뜨렸다.

불닭볶음면의 해외 돌풍에 힘입어 삼양식품의 시가총액이 결국 농심을 넘어선 것이다. 삼양식품의 시총이 농심을 제친 건 1990년대 중반 이후 약 30년 만이다.

지난 1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양식품의 주가는 1만5500원(5.00%) 오른 32만5500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삼양식품의 시가총액은 종가 기준 2조4520억원으로, 농심(시총 2조4483억원)을 앞서며 라면업계 1위가 됐다.

삼양식품의 주가는 이날 33만33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도 새로 썼다.

각각 1975년과 1976년 증시에 상장한 삼양식품과 농심은 상장 초기엔 시총이 비등비등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라면업계 맞수로 떠올랐다.

격차가 벌어진 건 1995년이다. 이때를 기점으로 농심이 삼양식품 시총을 빠르게 앞서 나갔으며 이후 계속해서 농심은 라면업계 시총 부동의 1위를 지켜나갔다.

삼양식품이 반등의 기회를 잡은 건 2010년대 들어서다.

2012년 4월 출시한 불닭볶음면이 2014~2015년 유튜브 등을 통해 잇달아 소개되면서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불닭 열풍’이 일었다.

이후 삼양식품의 매출은 수직상승했다. 올해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수출에 힘입어 올해 1조4000억원대 매출, 1800억원대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환율도 삼양식품 실적에 도움을 주고 있다. 해외에 생산 설비를 갖춘 다른 라면 업체와 달리 삼양식품은 불닭복음면을 모두 한국에서 해외로 수출한다. 지난해부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탰다.

삼양식품의 라면업계 시총 1위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게 증권가의 시각이다.

라면기업들은 물가상승을 억누르려는 정부 기조 때문에 국내에서의 마진율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삼양식품은 비교적 가격 결정이 자유로운 해외에서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