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같은 드론과 라디오, 전쟁서 위력은 장난 아닌 이유는 [박수찬의 軍]

박수찬 2024. 5. 11. 11: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구할 수 있는 드론과 전자장비가 전쟁의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이같은 양상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곳이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든 싸구려 자폭·정찰드론은 우리가 흔히 아는 전통적 방식의 제공권 장악 개념을 뿌리째 흔드는 모양새다.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드론을 띄우고 있다. 게티이미지
위성항법체계(GPS)를 활용해 적진을 오차 없이 타격한다고 알려졌던 정밀유도무기는 오픈 소스 등으로 만든 전파방해 기법에 가로막혔다. 10여년 전까지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모습이다. 

기존 전쟁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더욱 피비린내나는 혈투로 이끄는 원인이 되고 있다.

◆100여년 전의 전쟁이 재현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선 1·2차 세계대전 시절에 쓰였던 대규모 화력전이 다시 등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은 전선을 중심으로 막대한 양의 포탄을 쏘면서 상대방을 압박하고 있다.

에스토니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가 필요로 하는 포탄이 연간 240만발, 장거리 로켓은 8760발로 추산하고 있다. 지금까지 벌어졌던 현대 전쟁을 능가하는 압도적 규모의 물량이 필요한 셈이다.

이같은 화력전은 드론 비중이 확대된 것과 관련이 있다. 자폭 드론은 넓은 평야에서 적군의 눈을 날아다니며 적 기갑부대와 보병, 민간시설 등을 공격해 큰 피해를 입혔다. 

정찰 드론은 곳곳을 누비며 적군의 움직임을 아군에게 상세히 전달했다. 드론으로 인해 걸프전처럼 전차와 장갑차를 앞세운 신속한 기동은 어려워졌다.
우크라이나 군인이 쿼드콥터를 띄울 준비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사람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정찰드론이 적군의 이동을 감지하면, 포격이나 자폭드론이 공습을 감행했다. 전장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라는 전차조차도 과거의 ‘전격전’을 재현하지는 못하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양측의 움직임은 둔화될 수밖에 없다. 강력한 방공망에 부딪혀 양측 모두 공중 우세를 확실하게 장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동전까지 어려워지자 남은 방법은 각종 곡사포와 다연장로켓, 자폭 드론 등을 동원한 화력전뿐이었다.

러시아군은 북한·이란에서 대량으로 들여온 포탄과 미사일, 샤헤드-136 자폭 드론으로 우크라이나군을 타격했다. 

저렴하게 생산한 정찰 드론도 우크라이나군에 상당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러시아군의 오를란-10이다.

오를란-10은 2010년부터 러시아군에서 사용됐으나, 실체가 드러난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였다. 

일본산 캐논 DSLR 카메라에 페트병으로 된 연료탱크, 피스톤 엔진을 사용하는 오를란-10은 언뜻 보면 조악한 무기다. 

하지만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은 이 조악한 드론으로 포병 화력 우위를 확고하게 만들었다. 그만큼 전장에서 효과적인 드론이라는 의미다.

표적지시, 정찰, 전자전, 자폭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고, 가격도 8만7000∼12만 달러(1억1800만~1억6300만 원)에 불과해 대량생산이 쉽다.

고도 5㎞를 유지하면서 사전 지정된 경로를 따라 수백㎞를 자율비행할 수 있다. 최대 120㎞ 거리에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러시아군은 오를란-10을 전선은 물론 우크라이나 내륙까지 보내 정찰하며 표적을 확인, 공습에 활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도 합판, 플라스틱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초저가 자폭드론을 만들고 레저용 드론을 개조하는 등의 방식으로 러시아군을 공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선지역에서 한 군인이 DJI 드론 조종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GPS 정밀유도무기는 러시아군 전자전 위협에 직면해 있다. 

미국의 군사전문매체 디펜스원에 따르면, 지상 발사 소구경 폭탄(GLSDB)과 엑스칼리버 155㎜ 유도포탄, 합동정밀직격탄(JDAM)이 러시아 전자전의 여파로 명중률과 신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군이 GPS 스푸퍼(Spoofer)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스푸퍼는 GPS 항법장치에 잘못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GPS 신호는 강도가 약하다. GPS 신호보다 더 강력한 허위 신호를 보내면 기존 데이터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같은 방식으로 GPS를 사용하는 정밀유도무기가 표적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한다.

과거에는 기술적 한계 등으로 스푸퍼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10여년 전부터 반도체 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IT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면서 전자전에 활용할 수 있는 민간 분야 기술과 장비가 대거 등장했다. 

대표적인 것이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다. SDR은 컴퓨터로 만든 무전기로서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전자 분야 전공자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SDR은 저렴한 비용으로도 전파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미국의 엑스칼리버 포탄은 10만 달러(1억3600만 원), GLDSB는 4만 달러(5400만 원)다. 민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비와 기술로 수만 달러짜리 GPS 정밀유도무기 위력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일이 가능해진 것이다. 

미국으로선 러시아의 전자전 시도를 극복하면서도 확실한 신뢰성과 위력을 지닌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른 셈이다.

실제로 미국은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는 전자전 양상을 미군의 새 작전개념인 다영역작전 등에 반영하고 무기체계를 개량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군인이 모니터에 나와있는 전선 상황을 소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한국군도 새로운 시대 적응 서둘러야

한국도 드론 확보를 서두르는 모양새다. 국방혁신위원회는 지난 2일 4차 회의를 열어 2026년까지 현재 대비 2배 이상의 드론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상용 드론의 신속획득 활성화, 연구개발 드론의 전력화 속도 제고로 획득 방식을 다변화하고 예산 투자를 확대해 다량의 드론을 빠르게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상용 드론을 빠르게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상용 드론은 전자전 시도에 취약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러시아군 전자전으로 1주일에 우크라이나군 1인칭 시점(FPV) 드론 2000여대가 전파방해에 직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가 드론에 항재밍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가성비가 맞지 않는다는 점에서 난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벌어지는 전자전은 매우 격렬하지만, 한반도 유사시 직면할 전자전은 이보다 더 강도가 높을 수 있다.

오래전부터 전파방해장치를 개발해 수출까지 했던 북한이 민수용 기술도 활용해서 전자전을 감행하면, 드론과 GPS 기반 정밀유도무기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상용 드론의 위력이 반감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2023년 9월 22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진행된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최종 리허설에서 자폭드론(LOW급)이 분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안은 없을까.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소모되는 양보다 더 많은 드론을 만들어 투입하는 것과 전자전 기술 강화다. 

1대가 추락하면 2대를, 2대가 떨어지면 4대를 띄우는 식의 물량 공세는 ‘양이 곧 질’이 되는 국면을 만들 수 있다. 

첨단 드론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싸고 양 많고 신뢰성 높은 드론을 제작한다는 사고로 전환해야 가능하다.

대량생산을 하려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나 장비로 드론을 만들어야 한다. 전략물자로 지정된 것을 사용하면 신속한 대량생산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할 제작·설계업체도 사전에 충분히 육성하고, 조종사도 언제든 동원이 가능하도록 민간 양성체계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드론 제작과 비행 관련 규제 혁파가 이뤄져야 한다.

기본 플랫폼을 저렴하게 개발한 뒤, 용도에 따라 탑재장비를 다양하게 바꾸는 방식으로 파생형을 만들어 비용절감을 꾀할 필요도 있다. 실제로 러시아군 오를란-10은 정찰 외에도 전자전, 공격 등에도 활용된다. 
지난 2023년 9월 22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진행된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최종 리허설에서 스텔스형상소형드론이 분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자전 개념에 대한 전환도 고민해야 한다.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은 10㎞마다 전파방해장비를 설치, 우크라이나군의 드론 공격 성공률을 떨어뜨렸다. 

러시아군보다 자원이 많지 않은 한국군이 러시아처럼 대량의 전자장비를 전선에 투입하기는 어렵다. 10여년 전처럼 군사용으로 개발된 기술만 사용하는 것은 역부족이다. 

민간 기술과 인력을 신속하게 투입해서 전파방해, 무선교신감청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자전 분야에서도 신속한 동원능력이 갖춰져야 하는 이유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