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암호화폐는 전세계 금융시장의 가장 뜨거운 광기"

임근호 2024. 5. 10. 19: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이성적 암호화폐
제크 포크스 지음 / 장진영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 508쪽|3만2000원
美 기자가 파헤친 코인 실체
캄보디아 등 동남아서 벌어진
조직적·강압적 사기 행각부터
버젓한 FTX 거래소까지 탐사


제크 포크스는 미국 블룸버그 탐사전문 기자다. 암호화폐의 의심스러운 실체를 파헤치던 그는 동남아시아로 향했다. 처음 찾은 곳은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환전소 거리였다. 중국인들이 운영하는 이 환전소들은 ‘테더’ 같은 스테이블코인(가격이 달러에 고정된 코인)을 달러로 바꿔줬다. 신분증도 이름도 묻지 않았다. 어떻게 얻은 코인인지도 상관하지 않았다.

두 번째 찾은 곳은 교외의 작은 마을이었다. ‘차이나타운’이라고 불렸다. 중국 갱단이 사람들을 가둬놓고 코인 사기를 벌이는 곳이다. 갱단은 합법적으로 보이는 구인 광고를 냈다. 구직자들은 고객 서비스 직원이나 영업 사원으로 일하며 돈을 괜찮게 벌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캄보디아에 도착한 순간 그들은 감금된 채 사기에 가담해야 했다.

그들은 온라인에서 호감을 발하는 외모를 내세웠다. 좋은 투자처가 있다며 코인 투자를 종용했다. 스팸 문자를 보내는 일도 했다. 주로 선진국 사람들이 대상이었다. 작업량을 채우지 못하면 맞거나 굶었다. 때로는 살해당했다.

포크스가 찾은 차이나타운은 으스스했다. 검은 옷을 입은 경비원이 보초를 섰다. 건물 발코니에는 용접된 철봉이 달려 마치 새장 같았다. 건물 안에 들어가 볼 수 없었다. 온라인에 유출된 영상을 통해 가늠해볼 수는 있다. 영상엔 피에 젖은 흰색 티셔츠를 입은 남성이 등장한다. 전기 충격봉을 든 2명의 갱에게 쫓기고 있었다. 그는 도망치다가 주저앉더니 가위를 목에 대고 살려달라고 외쳤다.

포크스가 쓴 <비이성적 암호화폐>는 암호화폐산업의 어두운 이면을 들여다본다. 동남아에서 벌어지는 갱단의 인신매매 현장만이 아니다. 암호화폐산업의 앞모습, 최첨단의 화려한 모습마저 사기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FTX 거래소를 세우고 폰지 사기를 벌인 샘 뱅크먼프리드가 대표적이다. 그는 MIT를 졸업한 수재다. 언론에도 자주 나온 유명 인사다.

뱅크먼프리드는 한 행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상자 제조사가 있다고 생각해보라고 했다. 그들이 파는 상자가 세상을 바꿀 엄청난 물건이라고 홍보한 뒤 상자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공유하는 토큰을 발행한다. “물론 상자 제조사는 그 상자에서 수익금이 생기는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합니다. 저도 모르겠어요. 그러나 수익금은 생길 겁니다”라고 뱅크먼프리드는 말했다.

“모두가 돈을 벌게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건 폰지 사기다. 저자는 뱅크먼프리드도 자기가 하는 일이 사기라는 것을 알았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뱅크먼프리드뿐 아니라 암호화폐산업에 관련한 사람 대부분이 사기꾼에 가깝다고 일갈한다.

대체불가능토큰(NFT) 열풍도 있었다. 힐튼 가문 상속녀로 유명한 패리스 힐턴이 2022년 광고에 나와 원숭이 NFT를 샀다고 자랑했다. 선글라스를 끼고 모자를 쓴 원숭이 그림인데 가격이 30만달러(약 4억원)라고 했다. ‘투나잇 쇼’ 진행자 지미 팰런도 같이 광고에 나왔다. 자기도 22만달러에 원숭이 NFT를 하나 샀다고 했다. 광고 후 수많은 유명인이 원숭이 NFT를 샀고,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그 뒤에 있는 회사는 ‘지루한 원숭이 요트 클럽’이다. 비슷비슷한 원숭이 그림을 NFT로 팔았다. 처음엔 개당 220달러였다. 몇 달 뒤 소더비에서도 거래됐는데, 원숭이 NFT 101점이 2440만달러(약 334억원)에 팔렸다. 지금은 허황된 꿈처럼 그렇게 높은 가격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책은 암호화폐를 “역사상 유례가 없는 전 세계 금융시장을 휩쓴 가장 뜨거운 금융 광기”라고 규정한다. “암호화폐는 게임을 하는 족족 당첨되도록 조작된 거대한 슬롯머신 같았다. 전 세계의 수억 명이 유혹에 굴복하고 암호화폐라는 슬롯머신 손잡이를 당겼다. 모두가 누군가는 그렇게 해서 대박을 터뜨렸다고 알았다. 그렇게 점차 더 많은 사람이 암호화폐를 샀고, 암호화폐 가격은 점점 더 올랐다.”

저자는 투자한다면 굳이 반대하지 않을 코인으로 비트코인을 꼽는다. 다른 코인보다 덜 이상하기 때문이다. 또 신봉자들 때문이다. 그들은 종교처럼 비트코인을 받들며, 어떤 증거를 들이대든 ‘비트코인 매수’라고 답한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