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USA보다 바이오코리아…美中갈등에 한국 찾은 중국 기업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한국 시장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다른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종료 이후 한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려는 중국 자본이 늘고 있으나, 미중 갈등 같은 정치적 위험 요인을 고려한 국내 기업들이 오히려 중국 자본 투자 유치를 꺼리는 분위기가 생겼다"면서 "미국, 중국, 일본이 자국 기업 우호 정책을 경쟁적으로 펼치고 있어 기업들이 고려해야 할 변수와 불확실성이 늘어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바이오협회는 탈퇴, 6월 바이오USA도 불참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한국 시장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업계는 미국이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자,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로 우회 전략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했다. 일부 중국 기업들은 미국에서 열리는 바이오 전시회는 포기하고 한국 행사에만 참석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코엑스홀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BIO KOREA) 2024′에 우시앱텍, 우시바이오로직스, 베이진, 파마론 등 중국 기업들이 대거 참가했다.
특히 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와 모회사 우시앱텍은 미국에서 매년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행사인 ‘바이오 USA’에는 불참하고 한국 행사에만 참가했다. 우시 관계자는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은 내달 열리는 바이오USA에 참가하지 않는다”며 “한국 시장 마케팅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바이오코리아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이 놓쳐서는 안 되는 세계 최대 시장이다. 우시앱텍은 지난해 57억 달러(7조 5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절반 이상이 미국 시장에서 나왔다. 우시바이오그룹은 세계 최초 고형암 대상 T세포 치료제인 미국 아이오반스의 ‘암타그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 일라이릴리의 당뇨병·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와 젭바운드에 들어가는 원료의약품도 공급하고 있다.
그럼에도 우시바이오그룹이 미국이 아닌 한국 행사를 택한 것은 미중(美中) 갈등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 바이오기업들과 거래를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의회는 외국의 적대적 바이오기업이 미국 연방자금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지난 3월 미국 상원 국토안보위원회는 생믈보안법을 찬성 11, 반대 1로 통과시켰다.
존 크롤리 미국 바이오협회(BIO) 회장은 공개적으로 “생물보안법을 지지하고 미국 의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바이오협회는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의 대표적인 로비 단체로, 바이오USA의 주최 기관이다. 미국 바이오협회 회원사였던 우시앱텍은 이에 반발해 탈퇴했다.
생물보안법이 하원에서 최종 통과되면 미 백악관 관리예산국이 법을 적용할 중국 기업을 결정할 예정이다. 법안에서 이미 언급된 중국 최대 유전자 분석기업인 BGI 그룹과 자회사인 MGI테크, MGI 자회사 컴플리트 지노믹스, 중국인민해방군과 연계됐다는 평가가 나온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 등은 미국에서 사업하기 힘들 가능성이 크다.
미국 언론은 일부 하원들이 우시앱택 같은 중국 바이오기업과 맺은 계약을 2032년까지 종료하라는 내용도 법안에 포함시킬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의약품 개발 특성 상, 이 기한은 긴 시간이 아니다”면서 “이런 내용으로 법안이 시행되면 기존 계약뿐 아니라 신규 계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풀이했다.
시장에서는 미중 갈등이 한국 기업과 시장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갈등이 심할 경우 한국과 중국 기업 간의 교류와 협력에도 여파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중국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위탁개발생산, 의약품 핵심원료물질,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위축받을 수 있는데, 이 분야에서 한국 기업이 긍정적인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반면 다른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종료 이후 한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려는 중국 자본이 늘고 있으나, 미중 갈등 같은 정치적 위험 요인을 고려한 국내 기업들이 오히려 중국 자본 투자 유치를 꺼리는 분위기가 생겼다”면서 “미국, 중국, 일본이 자국 기업 우호 정책을 경쟁적으로 펼치고 있어 기업들이 고려해야 할 변수와 불확실성이 늘어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사람도 힘든 마라톤 완주, KAIST의 네발로봇 ‘라이보2’가 해냈다
- '첨단 반도체 자립' 갈망하는 中, 12인치 웨이퍼 시설 설립에 6조원 투입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