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규의 두줄칼럼] [138] 콩코드 효과

이동규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2024. 5. 10. 0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판은 빨리 인정하고 바로잡아야 한다
손절은 빠를수록 좋다

살다 보면 누구나 곤경에 빠질 수 있다. 경영자가 반드시 가져야 할 덕목은 자기의 결정이 잘못된 것임을 알았을 때 즉시 바로잡는 능력이다. 그러나 대다수 한국인은 자존심이 몹시 상하는 데다 체면 깎이는 일이라 회군(回軍)을 미루는 일이 많다. 그러곤 끝까지 운에 매달리면서 ‘못 먹어도 고’를 외친다. 똑똑한 CEO들이 실패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 이유다.

경영학에서는 매몰 비용(sunk cost) 등을 이유로 신사업 철수 결정을 주저하는 것을 ‘콩코드 효과(Concorde effect)’라 부른다. 충격적인 것은 생존법 연구 결과인데, 사람들은 길을 잃었을 때 자신을 구할 가능성이 가장 큰 행동을 할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는 점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