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스타트업, 중동 진출 문 ‘활짝’

이규희 2024. 5. 8. 22: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마천루 사이로 유독 눈길을 끄는 건축물이 있다.

고급 호텔과 쇼핑몰이 즐비한 두바이 중심 도로 '셰이크 자이드 로드' 한가운데 위치한 77m 높이 도넛 형상의 '두바이 미래박물관'이다.

미래재단 방문에 앞서 오 시장은 이날 오전 두바이 도로교통청을 찾아 미래 모빌리티 중심의 상호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두바이 ‘미래재단’과 MOU
양 도시간 교류 프로그램 발굴
혁신 기술·서비스 시장성 실증
“함께 미래 준비하고 발전 기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마천루 사이로 유독 눈길을 끄는 건축물이 있다. 고급 호텔과 쇼핑몰이 즐비한 두바이 중심 도로 ‘셰이크 자이드 로드’ 한가운데 위치한 77m 높이 도넛 형상의 ‘두바이 미래박물관’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왼쪽)이 지난 7일(현지시간) 압둘아지즈 알 자지리 두바이 미래재단 부대표와 두바이 미래박물관을 방문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서울시 제공
두바이 미래 비전을 담은 아랍어 캘리그래피로 표면이 장식된 이 유선형 랜드마크는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미래 인류의 기술을 전시하는 신개념 박물관으로 이름났다. UAE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71년 펼쳐질 세상을 미리 보여주는 일종의 실험장으로, 전 세계 관람객이 우주 기술·생명공학 등 체험형 전시를 즐긴다.

미래박물관을 짓고 경영하는 주체는 두바이 왕실이 2016년 설립한 ‘두바이 미래재단’이다. 두바이의 미래 핵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핵심 기관으로, 기술과 혁신의 최전선에 서겠다는 UAE의 포부를 나타낸다. 앞으로는 서울의 스타트업이 두바이 미래재단의 스타트업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미래재단 시설을 활용해 서울 스타트업이 보유한 혁신 기술·서비스의 시장성을 실증하는 기회도 얻을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현지시간) 미래재단을 방문해 압둘아지즈 알자지리 부대표를 만나 이런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서울과 두바이는 양 도시 스타트업의 상호 진출을 위한 교류 프로그램을 발굴하게 된다. 서울의 인공지능(AI), 바이오, 핀테크 등 첨단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은 두바이 미래재단이 진행하는 두바이 어셈블리·두바이 미래포럼 등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를 얻는다. 미래재단의 투자·육성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성장한 서울 스타트업이 중동시장을 교두보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오 시장은 이날 미래박물관을 방문해 2071년 우주정거장과 생태계 변화 등을 주제로 한 전시관을 둘러봤다. 이후 미래재단의 로봇공학·AI 분야 연구개발(R&D) 기관 ‘두바이 퓨처 랩’을 방문해 서울 혁신 생태계 성장을 위해 참고할 점을 살폈다. 오 시장은 “양 도시가 혁신기술 분야 전문지식과 인재를 교류해 미래를 준비하고 발전하기를 바란다”며 “국제행사 활성화를 위한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재단 방문에 앞서 오 시장은 이날 오전 두바이 도로교통청을 찾아 미래 모빌리티 중심의 상호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자율주행·UAM 실증 사업 성과 공유와 기술 교류, 관련 공동 연구과제에 협력하는 내용이 골자다. 두바이는 전체 교통량의 25%를 자율주행화하기 위한 ‘두바이 2030 자율주행 비전’을 2016년 발표하고 미래 모빌리티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26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두바이 국제공항과 도심에 4개의 버티포트(이착륙장) 설치를 계획 중이기도 하다. 서울의 대중교통 역시 미래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는 만큼, 협약을 통해 양 도시의 인력·기술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아울러 서울과 두바이는 올해 10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릴 서울형 CES ‘스마트라이프위크(SLW)’에 두바이의 혁신적인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이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오 시장은 “최첨단 과학기술을 운용하는 데 대단히 관심이 많은 두바이와 서울시가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고 최첨단 과학기술 경영 교통 시스템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두바이=이규희 기자 lk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